본문 바로가기

채권 콜옵션, 풋옵션 의미, 조건부로 조기상환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

에버단단 2023. 3. 17.

채권 콜옵션, 풋옵션 의미, 조건부로 조기상환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

채권-콜,풋-옵션-뜻-용어설명-섬네일
채권 콜옵션, 풋옵션 의미, 조건부로 조기상환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

채권도 옵션이 있다?

채권의 조기상환 조건에 옵션을 거는 것이다. 만기 전에 상환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가지고 발행자와 채권자가 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콜옵션부 사채는 채권발행자가 조기상환할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채권이며, 풋옵션부사채는 채권투자자가 발행자(채무자)에게 조기상환을 요청할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다. 아무 때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사채 발행회사의 신용등급이 변경되거나, 시장금리가 최초 사채 발행 시 채권 금리에 비해 일정비율 이상 변동되었을 때, 조건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주식에서 콜옵션과 풋옵션을 행사하는 것과는 개념이 갖지만, 투자라는 선택에 귀로 해서 선택지(옵션)가 주어진다라는 메커니즘이 동일하기 때문에 알아두는 것이 좋다.

콜옵션부사채

채권을 발행해서 판매한 사람은 돈을 갚을 의무가 있는 주체이다. 그런데 채권발행시 옵션에 '콜옵션을 행사할 권리'를 넣어 발행하게 된다면, 돈을 빌린 자가 일정 조건을 갖춘다면 '조기상환'을 할 수 있게 된다. 발행자에게 선택지가 부여되는 채권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금리가 상승하는 분위기라면, 채권발행자는 조기상환할 필요가 없다. 어디까지 나 옵션이기 때문에 처음 채권발행 시 계약된 금리로 이자를 지급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리가 하락하고 있는 시점이라면 명시된 조건을 만족한 후에 조기상환을 할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행사하면 채무를 상환하고 시중에서 싸진 금리로 다시 자금을 조달하면 더 낮은 이자를 내게 되는 셈이다.

풋옵션부사채

콜옵션부사채와 반대로 채권투자자(발행된 채권을 사들여서 이자를 받는 사람, 즉 투자자)가 금리가 오를 것 같으면 채무자에게 조기상환을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시장금리 상승기에는 과거에 사들였던 채권은 비교적 저금리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계속 그 금리로 이자를 받게 되면 손해를 보는 장사가 된다. 그래서 금리고 오를 때는 풋옵션부사채를 사들인 채권투자자는 조기상환을 요청하여 원금을 회수한 뒤, 다른 채권에 투자하여 비싸진 금리가 적용된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금리 하락기에는 권리를 행사할 필요가 없다. 기존대로 이자를 지급받으면 시장에서는 유리한 상황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콜옵션부 사채와 마찬가지로, 어떤 조건이 되었을 때 어떤 권리가 주어지는 개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