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KO 뜻, 한방에 이해하기
키코 개념
KIKO는 파생상품의 일종으로 Knock in Knock out 의 줄임말이다.
Knock in과 Knock out 2가지 모두 약정거래 방법인데 KIKO는 이 두가지를 조합하여 만든 파생상품인데 특정 자산이 거래 만기일까지 일정범위 내에 있으면 이 상품에 가입한 기업은 가격변동을 통해 환차익이나 헷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자산이 만기전에 상한선을 넘어버리면 아주아주 위험해지는 파생상품이다.
키코가 문제가 된 이유
200년도 중반 당시 우리나라는 수출강국으로 급부상하고 있었다. 그리고 수출기업에서는 벌어들인 외화를 원화로 바꾸려는 압력이 항상 존재한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한창 잘나가던 그 시절이는 달러보다 원화의 가치가 오를것이라는 전망이 강했다.
물건은 계속 팔긴 할테고, 전세계적인 대 침체가 오지만 않는다면 환율은 적정선에서 움직일것이 틀림없었다. 그러나 2008년 리먼 사태 이후 전세계 금융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환율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았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국내에서 나온 대응방안은 고환율정책이었다.
고환율, 즉 달러의 가격이 비싸진다면 수출이 잘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환율이 오를것이라는 것에 베팅했고 역시나 환율이 순식간에 올랐다.
그래서 환율이 상한선을 넘으면 손해를 보는 KIKO에 가입한 기업들은 모두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