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EPI ETF, 한방에 파헤치기

에버단단 2021. 8. 21.

제목이미지

개요(PROFILE)

-종목명(Title) :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티커(Ticker) : JEPI

-자산 운용사(Issuer) : JPMorgan Chase (JP모건)

-운임 수수료(Expense Ratio) : 0.35%

-설립일(Inception Date) : 20년 5월

-투자 규모(AUM) : $3.06B

-투자 전략(Fund Description) : 미국 대형 우량주와 주식연계채권(ELN)에 투자하는 액티브 펀드 투자방식으로 운용.

 

자산보유현황 (HOLDINGS)

- 섹터

SECTOR

기술주 비중이 19%로 가장 높으며 그 아래로 헬스케어와 소비재 섹터에 투자되어 있다. 

- 종목

holdings

9% 수준의 DERIVATIVE SECURITIES라고 적혀있는 부분이 바로 ELN 증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그 밑으로 다양한 우량주에 투자되어 있다.
ELN으로 프리미엄 수익을 만들어 내며, 우량주에 분산투자하여 성장성까지 가져가는 모델인 것 같다.
ELN은 쉽게 말해 옵션과 같다.
옵션을 준다는 것은 투자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프리미엄을 받게 되는 수익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S&P500 주가지수가 올해 30% 오를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치자. 
그러면 B라는 옵션 판매자는 A라는 사람에게 거래를 제시한다. 
S&P500 주가지수가 현재 주가 대비 30%이상 오르면, 당신에게 현재 주가 대비 40% 로 팔 권리를 제공하겠다고 말이다. 
그 대신에 현재 주가지수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을 매월 나눠서 낼 경우에 옵션을 유지시켜준다고 한다.  
그러면 A라는 사람은 현재 주가지수의 1%에 나누기 12를 한 만큼만 매월 프리미엄으로 지급하면 나중에 주가가 올랐을 때 그게 이득을 볼 수 있게 된다. 이것이 옵션의 기본적인 수익구조이다. 
그래서 어떤 면에서 보면 보험사가 보험상품을 팔아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는 방식과 비슷하다. 
어찌 됐건 이런 방식으로 JEPI는 지속적인 현금흐름(마치 월세처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고, 이것이 고배당의 기본 원리이다.


그러나 이 경우 S&P에 시장 전체에 대한 주가는 반영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오를것이라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의 프리미엄만 받은 것이지 시장에 투자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JEPI는 나스닥의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QYLD ETF 와 본질적으로 비슷한 수익모델이다. 
보통 고배당을 주는 ETF들은 이렇게 기업자체에 투자하기보다는 파생상품구조에 투자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주가 및 배당 (PRICE & DIVIDENDS)

*작성일 시점 기준.

1) 주가

chart

- 주가추이 : 중간중간 낙폭이 있긴 하지만 전형적으로 우상향 하는 형태를 보인다. 

- 연평균성장률 : 연평균 성장률은 25.26%이다. 1000만 원을 묻어놨으면 1년 만에 250만 원 이상 수익을 내는 셈이다. 

 

2) 배당

dividends

- 배당률 : 7.55%

- 배당지급주기 : 매월(Monthly) 지급

 

요약(SUMMARY)

- 종목 요약 : 우량주의 안정성과 고배당을 함께 얻어가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적격이다. 실제로 그리고 안정성과 배당수익 모두 너무나도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준 ETF이다. 앞으로 또 연준의 테이퍼링이 시작되면 시장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것이지만, JP모건의 JEPI는 미국 배당주 투자자들에게 현재까지는 굉장한 메리트가 있어 보인다. 

- 한줄평 : 당신이 배당주 투자자라면 반드시 한번쯤은 매수를 고민해 볼만한 ETF.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