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착륙 경착륙 뜻 차이, 경제의 완충작용 정도를 표현, 소프트랜딩, 하드랜딩

에버단단 2022. 8. 2.

연착륙 경착륙 뜻 차이, 경제의 완충작용 정도를 표현, 소프트랜딩, 하드랜딩

연착륙,경착륙,용어설명-섬네일
연착륙,경착륙 개념 차이

경제용어 경착륙 연착륙 의미

경착륙이란?

경착륙은 비행기가 착륙할 때, 급격히 고도를 낮추면서 비행기 선체나 부품에 손상이 가는 상황을 의미한다. '경'이라는 단어에서 의미하듯이 딱딱(Hard)한 의미가 있다. 그래서 하드랜딩(Hard Landing)이라고도 불린다.

연착륙이란?

반면, 연착륙은 부드럽게 착륙하여 어떠한 손상도 없거나, 최소한의 손상만 발생하는 상황이다. 경착륙에 비해선 안전하게 착륙하는 상황이다. 연(soft)하다 하여 소프트랜딩이라고 불린다.

경착륙 연착륙의 경제학적 의미

경착륙 연착륙이라는 의미는 경제상황을 나타낼 때도 쓰이는 말이라, 경제기사나 칼럼, 애널리스트 리포트 등에서도 많이 등장한다. 경기라는 것이 사이클, 즉 순환의 흐름을 갖는다라는 것은 모두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물가가 오르고 경기과 과열되는 시점에서 중앙정부는 시중에 풀린 자금을 회수하고 물가상승을 낮추려고 하는 등의 현상이다. 이렇게 자금을 회수하고 물가상승 압력을 낮추는 과정에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잡음이 발생하게 된다. 경기에 심하게 노출되어 있는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그대로 타격을 받게 된다. 이 타격이 심하다면 경착륙, 비교적 적다면 연착륙이다.

결론

모든 중앙은행들은 물가를 잡는 국면에서 '연착륙'을 목표로 한다. 적절한 재정, 통화정책을 적시적기에 사용하여 경제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그들의 중요한 책무 중 하나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