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자본증권이란, 하이브리드채권, BIS비율이 높아보이는 효과
신종자본증권이란, 하이브리드채권, BIS비율이 높아 보이는 효과
신종자본증권이란?
신종자본증권은 주식과 채권의 성격을 모두 갖고 있는 유가증권으로, 하이브리드 채권이라고도 불린다.
보통 30년 만기 혹은 만기가 없는 조건으로 발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채권은 자본과 다르게 회계처리가 된다. 받을 돈과 자신의 돈을 구분 짓는 것인데, 신종자본증권은 채권이긴 하나 내 돈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자본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금융기업 입장에서는 자기 자본비율(BIS비율)이 높아 보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재무구조의 건전성이 좋아 보인다. BIS는 은행의 자기 자본비율을 나타내는 척도이기 때문에 BIS비율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신종자본증권을 이용한다. 일반 채권보다 후순위로 밀리기 때문에 도산과 같은 리스크 시 원금을 보장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채무에 포함하지 않는 하이브리드 증권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보통 30년 만기상품이기 때문에 거대한 자금과 꾸준히 지급되는 이자를 치환한다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이자 지급이 보장되지 않는다. 신종자본증권은 은행의 당기손실, 위험가중자산의 증가로 인해 BIS비율이 떨어지게 된 경우에 이자지급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법적인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금융시스템을 위한 법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