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DP 뜻, 지역내 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통 계지표 이해하기

에버단단 2023. 1. 5.

GRDP 뜻, 지역 내 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통계 지표 이해하기

GRDP 용어설명 첫화면
GRDP, 지역 내 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개념 쉽게 이해하기

GRDP는 지역 내 총생산을 의미한다.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의 약칭으로 해석하면 '지역 내 총생산'을 의미한다.지역내 총생산의 정의는 지역 내 총생산이란 일정 기간 동안 일정 지역 내에서 창출된 최종생산물가치의 합이다. 국내총생산을 의미하는 GDP는 자주 들어 익숙한 개념이다. 국내에서 만들어진 서비스화 상품이라는 재화, 즉 부가가치를 갖는 최종 생산물의 총합이다. 어떤 나라에서 얼마치의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낸 능력을 의미하기 때문에 국가별 경제의 규모를 설명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GDP는 내가 살고 있는 도시의 경제규모를 설명해주지 못한다. 내가 살고 있는 도시의 경제력을 알고 싶다면, GRDP라는 범위로 축소되어야 한다. GRDP도 비슷한 개념이다. GDP의 영역을 더욱 잘게 쪼갰을 뿐이다. 지역 내 총생산의 지역범위를 전체적으로 확산하면 국내총생산과 동일한 의미이다. 그럼 우리나라에서 분할한 지역 내 총생산을 모두 다 더하면 국내총생산(GDP)이 되는 것일까 의문이 들 것이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지역 내 총생산이 가 국내총생산은 UN에서 설정한 프로토콜(일종의 협약)인 SNA 규격에 따라 추계되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차이가 발생한다.

지역 내 총생산(GRDP)을 통해 지역소득통계를 확인하고, 지역경제의 실태를 넓은 범위에서 포괄적으로 나타내주기 때문에 예산 수립, 경제정책 수립을 지역단위로 진행할 때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또, 지역경제별로 상호비교가 가능하므로 국민 경제의 지역적인 분석과 국가적 차원의 예산분배 및 설정이 가능해진다. 시군구별로 GRDP 수집이 완료되면 인구수로 나누어 1인당 GRDP를 산출해낼 수 있는데, 이 수치는 소득 수준을 구하는 근거자료가 된다. 

댓글

에버단단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