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체비용 뜻, 대체불가능한 인력이 되면 임금이 오른다

에버단단 2023. 3. 25.

대체비용이란? 대체불가능한 인력이 되면 임금이 오른다

대체비용-뜻-용어설명-섬네일
대체비용 뜻, 대체불가능한 인력이 되면 임금이 오른다

고용시장에서 대체비용이 의미하는 것은?

고용 시장에서 대체 비용은 조직을 떠난 기존 직원을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직원을 고용하고 교육하는 데 필요한 각종 비용의 합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신입 사원 채용, 고용 및 교육과 관련된 비용과 전환 기간 동안 발생하는 생산성 및 수익 손실이 포함된다. 쉽게 말해, 기업이 어떤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을 때, 갑작스럽게 발생한 직원의 부재를 다시 충원등으로 원복시켜, 정상적인 시스템이 되게 만드는데까지 필요한 비용이다. 

일하는 남자의 모습
대체비용이란 무엇일까?

아무나 할 수 없는 기술을 갖추어라

실적이 높은 직원이나 특별한 기술을 보유한 직원은 고용주입장에서 해고할 이유도 없고, 쉽게 해고할 수도 없다. 그 이유가 바로 '대체비용'이 높기 때문이다. 그 직원이 만일 사무실에 출근을 하지 않는 상황이 되었을 때, 그 일을 누군가가 대신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라면 대체비용이 낮은 직원이다. 그래서 고도의 기술을 가지고 있는 직원이나, 관리능력이 높은 중간관리자는 대체비용이 높기 때문에, 아무리 계산기를 두들겨 봐도 기업입장에서는 해고할 필요가 없다.

Human-resources-text
대체비용을 높이는 것이 직원입장에서는 비장의 카드

기업은 왜 복지정책을 시행하는가?

우리가 흔히 복지가 좋다는 기업을 생각해보자. 이름을 대면 모두 알만한 그럼 기업이다. 탄력적으로 근무하고, 사내에 어린이집, 헬스장 등 각종 부대시설들을 함께 보유하고 있는 바로 그런 대기업들 말이다. 그러나 대기업도 비용을 써가며 복지정책을 시행하는 이유는 대체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라는 아주 냉혹하고 계산적인 술수가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윤리적 차원에서, 단순히 직원들의 행복이라는 가치때문에 그렇게 돈을 펑펑 써가며 복지를 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학력이 높고, 능력이 좋은 경력직을 뽑아놨어도, 다른 기업으로 이탈하게 되면, 그런 직원을 찾고 뽑는데 드는 비용이 더 든다. 새로운 프로세스에 교육시키는데 드는 비용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Human-resources-문구
기업이 복지정책을 시행하는 이유

경제적 자유로 가는 밑걸음

임직원이 대체비용에 대한 이해를 한다면, 자신이 기업 내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가, 얼마만의 역할을 수행하는가를 생각해 보고, 연봉협상을 이끌어낼 수 있다.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지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자본금을 쌓아서 시간을 버는 것이다. 즉 돈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직장 내에서 몸값이 오르면, 당연히 세상에서도 몸값이 오른다. 세상은 직장 같은 작은 사회들이 모인 큰 사회이기 때문이다. 무작정 퇴사하여 맨 땅에 헤딩하며 경제적 자유를 찾는 것은 위험률이 너무 크다. 특히 딸린 식구들이 있으면 더더욱 그렇다.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없다면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이 안되어 망하는 지름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지금 몸담고 있는 곳에서 몸값을 최대한 올려서 사회로 나오는 게 어쩌면 가장 빠른 길인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