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FRS 뜻, 국제 회계 표준, 재무제표를 통일하여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다

에버단단 2021. 1. 14.

IFRS 뜻, 국제 회계 표준, 재무제표를 통일하여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다

IFRS 뜻

IFRS란?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의 줄임말인데요.쉽게 말하면, 국제 회계기준이라고 표현합니다. IFRS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 (ISAB)가 지정하여 공표한 국제회계기준이랍니다. 한국에서도 2011년도부터 이 회계기준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지요.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은 모두 이 회계기준을 따라야 한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IFRS가 무엇인지 간략한 개념에 대해서만 알아볼게요.

해외 각국의 외국인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기업에 투자하고 싶은데 기준들이 다 달라서 해석하기가 곤란한 겁니다.반대로 우리나라가 해외시장에 투자할 때도 마찬가지로 어렵지요.각 나라별로 가치관이나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돈 관리하는 방법도 달라서 그런 건데요.

혹시, 가계부 써보셨나요? 직접 써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가계부 작성에도 여러 가지 방법론이 존재하지요. 어떤 사람은 매달 1일부터 31일을 한 달러 보는가 하면, 월급이 들어온 날이 10일이라면 10일부터 그다음 월급날까지를 한 달의 기준으로 삼는 사람도 있죠.혹은 보험과 대출이자를 이체 항목으로 넣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누군가는 지출로 처리해서 자신이 한 달간 얼마의 돈이 필요한지 확인하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고요.즉, 그 사람의 성향에 따라 돈 관리하는 방법도 달라질 수 있는 겁니다.

IT 발달이 가속화되며 국경을 넘어 전 세계로 투자가 가능해졌어요.그런데 이렇게 나라마다 돈 관리하는 방법이 각기 다르면, 전 세계의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보는데 시간도 들고 힘들겠죠. 가계부를 다 다른 방식으로 작성해 두었기 때문이죠.그래서 국제적으로 대표를 정해서 딱 총대를 메고 기준을 공표한 겁니다. 글로벌 투자의 활성화를 위해, 가급적 이 기준에 맞춰서 재무제표를 통일하자는 취지에서 말이죠.이 재무제표를 동일한 양식으로 맞추면, 물론 처음엔 기존 방식을 바꿔야 하니 비용과 시간이 들겠죠. 하지만 나중에는 같은 회계용어 개념이나 계산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해외의 기업 분석 시 들여다 보기가 더 수월 해지는 겁니다. 투자자들의 혼란과 정보의 비대칭성이 훨씬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요약을 하면, 국경을 넘어 전 세계 어디서든 같은 방식으로 작성된 재무제표를 만들어 통일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것이 바로 IFRS입니다.오늘은 IFRS의 개념에 대해서만 짧게 알아보았습니다. 기업과 관련한 경제뉴스에도 가끔 등장하는 용어이니, 개념 정도는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