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수학을 잘하는 몇 가지 이유
인도는 고대시대부터 수학의 역사가 발견되어 왔다.인도의 교육체계는 수학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수학교육에 큰 가치를 부여하고, 논리적은 사고가 가능하도록 교육적인 지원이 크다. 수학 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 자체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사라지지 않는 카스트제도
인도에서는 오래전부터 이어져온 신분질서 악습 카스트제도가 있는 것도 한몫한다. 법적으로 금지되었지만 여전히 카스트제도로 인해서 많은 하위신분이 불필요한 고통을 받고 있다. 이러한 그러나 신분이 낮더라도 인도공과대학 IIT에 합격한다면 카스트 제도를 뛰어넘는 신분상승의 기회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학과 논리적 사고를 위한 공부에 매진하는 것도 인도가 수학을 잘하는 하나의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절박함으로 교육받는 인도
인도공과대학에 입학을 하려면 일단 수학이라는 학문이 굉장히 중요하다. 교수학은 물리, 화학과 함께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육만이 신분과 가난을 벗어날 수 있다는 유일한 통로라는 인식이 자리 잡혀 있는 만큼, 한국의 대치동만큼이나 공부와 교육열이 치열한 나라라고 할 수 있고, 관심과 지원이 이어진다. 여기는 진짜 목숨 걸고 공부하는 곳이다. 그래서 수학도 잘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꼬마아이들도 19단까지는 줄줄이 외울 정도로 교육을 받는 것이다.
결론
인도가 수학을 잘하는 이유는 카스트제도라는 악습 신분제에서 탈바꿈하고자 하는 하위계층들이 절박함으로 목숨걸고 수학교육에 집중투자를 하면서 생겨났다. 적어도 인도라는 나라의 민족이 적어도 유전적으로 수학을 잘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신분제, 계급과 관련된 도움 될 만한 용어설명 포스팅
2023.03.23 - [경제용어] - 유전무죄 무전유죄 뜻, 법조계의 부조리 현상을 비꼬는 말
유전무죄 무전유죄 뜻, 법조계의 부조리 현상을 비꼬는 말
유전무죄 무전유죄 뜻, 법조계의 부조리 현상을 비꼬는 말 유전무죄 무전유죄 사자성어 의미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은 돈(전)이 있으면 있던 죄도 없어지고, 돈이 없으면 없던 죄도 생긴다'
danbi-zoa.tistory.com
2022.12.27 - [경제용어] - 차티스트 뜻, 차티즘 운동, 최초의 산업 민주주의 운동
차티스트 뜻, 차티즘 운동, 최초의 산업 민주주의 운동
차티스트 운동, 차티즘, 최초의 산업 민주주의 운동 차티스트 운동이란? 차티즘(Chartism)은 1830년대 후반과 184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영국에서 나타난 민중 운동이다. 정치 개혁을 요약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