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DC 투자전문회사,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SPAC과의 차이점
BDC제도란 무엇인가?
BDC제도란 Business Development Company의 약칭으로, 우리말로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제도라고 한다. BDC는 투자 대상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이 설립되고 상장되어 비상장사 또는 코넥스(KONEX) 시장에 투자하는 투자목적회사이다. 기본적으로 공모를 통해 모집한 자금을 사용하여 비상장기업에 투자하는 투자목적 전문회사이다. SPAC이라고 하여 투자만을 목적으로 명목적으로 만들어지는 회사를 의미하는 말이 있긴 하다. BDC도 이와 비슷한 콘셉트이라고 볼 수 있지만, 다른 특징을 가지므로 알아두는 것이 좋다.
SPAC과 무슨 차이가 있을까?
BDC는 SPAC과 마찬가지로 공모로 자금을 모집후 상장시키기 위한 페이퍼컴퍼니라는 점에서는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BDC는 비상장 기업에 '투자'를 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SPAC은 오롯이 '인수&합병'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니 SPAC은 인수합병을 하지 않으면 회사 자체의 목적이 사라지는 것이다. 처음부터 인수합병을 통해서 알맹이를 채워 넣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BDC의 경우 SPAC과는 달리 공격적인 인수합병을 위한 목적이 아니라 괜찮은 회사에 투자하여 투자수익을 내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회사이다.
BDC의 장점
BDC는 공모로 자금을 모집하므로, 비상장 투자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좋게 해준다. 비상장주식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코스피, 코스닥에 비해 거부감이 들거나 잘 모르는 분야인 경우가 대다수여서 쉽게 투자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성장하고자 자본금이 필요한 코스닥 상장회사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덩치를 갖는 작은 회사들은 투자금 유치의 기회가 비교적 적을 수밖에 없다. BDC는 이런 작은 기업들에도 투자를 돕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 BDC 자체는 상장회사이기 때문에 BDC회사의 주식을 주식시장 내에서 거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며 투자금을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보면 아주 도움 되는 글
2022.06.17 - [경제용어] - SPAC 주식, 스팩, 서류상에만 존재하는 기업, 위험성 존재
SPAC 주식, 스팩, 서류상에만 존재하는 기업, 위험성 존재
SPAC 주식, 스펙, 서류상에만 존재하는 기업, 위험성 존재 SPAC 주식이란? SPAC은 우리말로 기업인수목적회사이며,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칭이다. 말 그대로 어떤 기업을 인수하기 위한 목
danbi-zoa.tistory.com
2022.05.26 - [경제용어] - VC CVC 차이점, 벤처캐피탈에 진출하려는 이유
VC CVC 차이점, 벤처캐피탈에 진출하려는 이유
VC CVC 차이점, 벤처캐피털에 진출하려는 이유 VC란? 잘 알고 있듯이, Venture Capital의 약칭이다. 투자자들로부터 신생 스타트업, 혹은 벤처기업에 자본을 제공하는 일을 한다. 물론 리스크는 투자자
danbi-zoa.tistory.com
2021.10.28 - [경제용어] - 페이퍼 컴퍼니, CRC, CRV 용어정리
페이퍼 컴퍼니, CRC, CRV 용어정리
페이퍼 컴퍼니, CRC, CRV 용어정리 페이퍼 컴퍼니 (Paper Company) 전형적인 제곧내(제목이 곧 내용), 페이퍼(종이), 컴퍼니(회사), 즉, 명목상으로만 존재하는 회사. 물리적인 형태가 없다. 그래서 사무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