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IR,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의 의미

에버단단 2021. 2. 16.

PIR, 소득 대비 주택 가격비율의 의미

PIR,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

PIR이란?

Price to Income Ratio의 약칭으로, 우리말로 하면 소득 대비 주택 가격비율입니다.
PIR은 주택가격에 가구당 연간 소득을 나누어 산출됩니다. 주택 가격이 5억이고 가구당 연간 소득이 5000만 원이면 PIR은 10이 되겠죠?
그리고 이것을 체감하기 쉽게 바꾸어 말하면 내가 10년을 일해야 주택한채를 살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연간 소득으로 나눈 것이니 말이죠.
PIR을 통해 내가 실제로 벌어들이는 소득에 비해서 주택가격이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해 볼 수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부동산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주거실태조사를 하여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최근 급격한 부동산 시장의 가격상승률로 인해 PIR지수가 올라 주택구매력과 자가점유율이 현저히 낮아진 상황입니다. 걷잡을 수 없이 오르는 부동산 가격으로 내 집 한 채 갖는 것은 그 자체로 매우 대단한 일이 되었습니다. 국가에서는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이런저런 공급대책도 많이 나오고 있지만, 공급계획의 진실성 여부나 공급 가구의 평형에 대해서도 갑론을박이 많이 일고 있는 상황이죠. 과연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전망될지 계속 지캬봐야겠습니다.
지금까지 머니머신팩토리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