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달 적정 보험료 얼마일까? 이 글로 종결합니다

에버단단 2024. 8. 21.

한달 적정 보험료에 대해

뻔한 이야기하지 않고 퇴사하고 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재무와 자산관리를 오랫동안 공부하고 연구했던 제가 결론지은 생각들을 서술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정답은 아닙니다만,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하고 계신 분들께서는 유용한 팁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한달 적정 보험료 산정 기준 섬네일
한달 적정 보험료 산정 기준

 

한달 적정 보험료 얼마야?

한달 적정 보험료를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 이 부분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평균적으로 얼마의 보험료를 지출하는지, 그리고 저의 생각 등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한달 적정 보험료가 궁금한 이유

 

결국 군중심리 때문입니다. '내 주변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보험료를 지출하고 있을까?', '나, 잘하고 있는 걸까?' 이게 궁금한 거겠죠. 직장 생활할 때, 어떤 어플이 하나 있었는데요. (이름이 생각나지는 않습니다)

 

근로자들의 평균 연봉을 국민연금 납부내역과 연동하여 산출해주고 자신의 위치가 어느 정도 되는지를 보여주는 어플이었습니다.

 

이 어플을 보며 내가 이 나이대에 평균정도는 받는 구나 안심하시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제가 추구하는 방향의 마인드는 아닙니다

'나이'라는 변수, '연봉'이라는 변수 모두 내가 안심할 수 있는 기준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평균치에 드냐 못드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이 보험이 실질적으로 나에게 유효한 가치를 제공해 주느냐, 이에 맞는 보험료를 내고 있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그러니, 평균치와 관계없이 자신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보험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죠. 

 

방패 이미지
보험이 실질적으로 유효한 가치를 주는가?

 

보험료 기준은 최대상한선을 보는 것이 맞다.

제 생각에는 한달 적정한 보험료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한 달 최대로 낼 수 있는 보험료가 정해져 있다'라고 생각하시고 접근하셔야 한다는 말입니다.

 

저 사람 저정도 보험료 낸다던데' 하면서 나도 굳이 그 정도 보험료 맞출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내가 하루에 1500kcal만 먹는 사람인데 어떤 사람이 3000kcal를 먹는다고 해서 내가 굳이 이 칼로리를 따라갈 필요가 없는 것이죠. 나한테 맞는 최소한의 보험을 세팅하고 위험관리를 하면 됩니다. 

 

즉, 어느정도의 상한선을 넘기지 않도록 보험을 세팅하면 된다는 말입니다. 

한달 적정 보험료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산출되어야합니다. 

 

상한선 기준을 두는 이유

 

경제학적 관점에서 너무 안전성과 수익은 반비례합니다. 즉 보험을 많이 든다는 것은 안전성을 추구하되 수익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우리가 예적금 통장에 돈을 납입할 때 적용되는 무슨일이 일어나도 원금을 보호해 주는, '예금자 보험'이 바로 이러한 취지죠. 

 

그래서 최소한의 셋팅으로 위험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최소한의 세팅을 하더라도 소득이 되는 분들은 부담이 없지만, 소득이 적은 분들은 최소한의 보험 세팅이 힘들 수도 있겠죠.

 

그래서 자신의 소득 대비 어느정도 기준을 두어 직관적으로 재무관리를 하기 위함입니다. 그럼 연령대별 평균 보험료가 얼마인지,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 본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한달 적정 보험료 세팅을 위한 사고

 

개인별 평균 보험료 지출액

개인별 한달 보험료 평균

해빗팩토리의 시그널플래너라는 유명한 블로그가 있는데요. 이곳에서 발행한 컨텐츠 조사에 따르면 40만 명의 빅데이터 분석결과 월평균 보험료가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월 평균 납입 보험료
월 평균 보험료 (데이터 출처 : 시그널플래너 블로그)

 

 

너무 유용하게 잘 집계된 자료이기 때문에 여러분들께 한번씩 보여드리고 싶었습니다. 50대가 48만 원 정도로 가장 높은 데요. 이 금액이 소득의 몇 퍼센트 정도가 될까요? 

 

실제 지출은 몇 퍼센트 정도?

이 금액은 대체로 연령대별 평균 소득 수준의 20% 정도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대한민국 사람들은 '평균 20% 정도를 보험료에 납입하고 있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여러분도 20%를 납입하면 되겠구나 생각하실 수 있겠는데요. 

 

한달 적정 보험료 수준

 

많은 재정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월 최대 보험료 적정수준은 10%를 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월 200만원을 벌고 있다고 한다면, 20만 원의 최대 20만 원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만일 500만원을 버는 상황이라면 어떨까요? 50만 원을 넘지 않도록 세팅하면 됩니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보험이 많으면 많을 수록 사고가 터졌을 때 수익률이 커지는 것이기 때문에 소득만 되면 많은 것이 좋겠죠.

 

그러나 터질지 안터질지도 모르는 사고 때문에 장기적으로 투자금이 되어야 할 돈을 계속 지출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한선을 정해두자는 것입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10% 수준이 적당하다라는 것이 아닙니다.

 

10%를 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10%가 안 되었다고 해서 10%를 굳이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보험이라는 것은 시장에 알려진 필수적인 보험들이 있습니다. 실손, 암진단 등 말이죠. 이런 보험들을 잘 구성해서 최소한으로 유사고시 최대비용을 끌어낼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맞춰야하는 것이 보험이지, 소득이 되는 사람들이 굳이 구태여 10%를 맞출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 이해되셨죠?

 

적정 보험료 수준 얼마일까?

 

 

자녀가 있는 경우

저는 현재 두명의 자녀가 있고, 곧 셋째 출산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적정 보험료에 대해 많이 생각해 보았는데요. 

아이의 연령대에 따라 다르겠지만, 성인이 지출하는 보험료대비 0.5배~0.75배정도 더 증대한다고 보면 됩니다.

그냥 한달 적정 보험료가 총 소득 수준의 약 20%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녀가 많이 있다고 해서 보험료도 많이 늘면 좋겠지만, 그것은 소득이 될 때 이야기고요.

일반적인 직장인 소득 수준이라면, 맥시멈 20%로 맞추는 게 좋을 듯 합니다.

 

물론 약간 편차가 있겠습니다만, 자녀가 있고, 나이가 어느정도어느 정도 찼다고 하면 일반적인 범주 내에서 소득 수준도 어느 정도 안정화되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20%로 맞추더라도 기본적인 보험세팅에는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1가 정당 엄마 아빠가 일하면 못해도 500 정도 번다고 할 때, 20%면 100만 원이 됩니다. 그러면 최대 100만 원을 넘지 않게 세팅하면 됩니다. 

 

손을 잡고 일렬로 서있는 사람들
한달 적정 보험료 얼마일까?

 

결론

기준이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재정 관련 전문가로써 제가 일반적인 한달 적정 보험료 기준을 세워드리겠습니다. 

  • 자녀가 없을 경우 : 연소득의 10%를 넘지 않도록 할 것. 
  • 자녀가 있을 경우 : 연소득의 20%를 넘지 않도록 할 것. 

동의하지 않으셔도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명확한 기준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및 개인적인 생각

 

위 기준은 철저히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작성된 기준입니다.저 또한 위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보험료를 산정하고 있습니다.

 

보험은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재테크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보험이 재테크 수단이 되는 순간, 나의 희망 기댓값에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긍정적으로 바뀌기 때문에 이것이 딱히 좋은 일도 아니겠죠.  

 

즉, 사고를 최소화 하면서도 적정 보험료를 유지하고 나머지 금액은 재투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무관리에서 보험은 부동산 다음으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보험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것은 재무관리하길 포기하겠다고 선언하는 것과도 같습니다. 

 

물론 제 개인적인 기준이긴 하지만, 많은 분들께 기준을 잡아드리고, 정량적 기준으로 자산관리를 시작해 보려는 분들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위 말씀드린 기준을 적용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하다면 보험을 더 추가하고, 더 빼면서 관리를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필수 상식

 

자동차보험 피보험자 계약자, 기명 피보험자 용어 바로 알기

피보험자와 계약자 의미 차이 바로 알기자동차 보험에 대해 알아보거나 계약 관련 내용을 살펴보다 보면, 자동차보험 피보험자 계약자의 의미 차이를 정확히 몰라 당황감을 느끼셨던 적 있으실

danbi-zoa.tistory.com

 

비갱신형 실비보험, 보험료는 비싸지만 고정지출의 변동성 없애서 좋다

비갱신형 실비보험 가입하라고들 이야기 많이 들으셨을 겁니다. 그런데, 왜 비갱신형을 가입하라고 하는 걸까요? 더 나아가 비갱신형과 갱신형의 차이가 뭐길래 다들 이런 식으로 말하는 건지

danbi-zoa.tistory.com

 

기명 피보험자 뜻, 1인 한정 이란?

기명 피보험자란?기명 피보험자라는 보험용어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많을꺼에요. 피보험자라는 말은 보험의 보장대상이 되는 사람을 의미한다는 사실은 다들 잘 아실꺼에요. 그렇다면 기명

danbi-zoa.tistory.com

 

 

 

댓글

에버단단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