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주의 의미, 거래 발생이 기준 시점, 비용처리 순 자산 시점에 따라 구분
발생주의 회계처리 방식 개념
일반적으로 회계처리방식은 큰 범주로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뉘는데 발생주의와 현금주의로 나뉜다.
여기서 발생주의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현금이 실제로 오고 가지 않아도 미리 순자산에 반영해 처리하는 방식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기업체들이 발생주의 회계처리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내가 친구에게 사과 한 상자를 팔고 돈은 나중에 어떤 시일에 받기로 약속했다면 사과한 박스 값을 이미 미리 이익에 반영하는 것이다. 또 반대로 내가 줄 돈, 즉 채무가 생기면 그 또한 실제로 대금을 치르는 시점이 아닌, 채무가 발생된 시점에 비용처리를 해서 순 자산에 반영한다.
가계부를 정리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내가 전세 세입자라면 임대보증금을 순자산에 반영한다. 차량을 가지고 있다면 차량가액또한 순자산으로 반영한다. 나중에 팔면 현금이 되는 자산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돈이 아니더라도 돈이 되는 자산은 언젠간 팔면 돈이 되니까 지금 당장 자산에 반영하는 것을 발생주의적 개념이라도 한다. 그러니까 순자산이라는 개념 자체가 발생주의에 기반한 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