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 뜻, 한방에 이해하기
레버리지 뜻, 한방에 이해하기
경제, 주식, 재테크 분야에 관심을 갖다보면 레버리지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레버리지 뜻을 간단히 알아보자.
레버리지의 정의
레버리지는 영어단어 "Leverage" 우리말로는 "지렛대"라는 의미이다.
지렛대라는 것은 작은 힘을 가해도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수 있는 길다란 형상 막대기따위를 의미한다. 경제용어에서의 레버리지도 마찬가지의 의미이다.
나의 자본을 적게 투입하더라도, 남의 돈을 조금만 보태서 돈뭉치를 크게 만들면 적은 수익률로도 큰 이익을 이끌어낼수 있다. 그리고 그 시점에서 빌린돈은 다시 갚아버리면 된다. 이렇게 내돈이 아닌 남의 돈(은행돈, 증권사돈, 친구돈) 빌려서 투자하는 방식을 "레버리지 투자"라고 한다.
레버리지의 활용
일반적으로 레버리지라도 하면 두가지 의미가 있다.
첫번째 의미
우리가 흔히 말하는 레버리지는 빌린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주택을 살때 주택담보대출이라는 은행상품이용한다고 치면, 은행에서 빌린돈이 이 "레버리지"에 해당한다.
주식시장에서도 신용거래등을 통해 내 돈을 증거금으로만 넣으면 증권사돈을 빌려 투자할 수 있다. 이것도 레버리지라고 한다.
두번째 의미
레버리지는 주식시장에서 ETF등의 상품에서 수익률이 두배가 되는 상품을 의미한다.
삼성자산운용 상품중 코덱스(KODEX) 레버리지 ETF 등이 바로 이러한 상품들이다.
상품 이름자체에도 레버리지가 붙어있다
이것도 엄밀히 따지면 돈을 빌려서 투자하는 원리를 갖는 파생상품이기때문에 가능한것이다.
레버리지ETF는 상승시에는 원래 지수가 상승한 수익률의 두배가 오르고 떨어지면 두배로 떨어진다.
추적오차와 괴리율을 적용히면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원래 레버리지 상품의 취지는 두배의 수익률을 보이는 것이다.
결론
레버리지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인 투자장식이다. 투자하기전에 공부를 철저히 하길 바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