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V/EBITDA, 10초만에 이해하기

에버단단 2021. 8. 14.

EV/EBITDA-용어설명-섬네일
EV/EBITDA, 10초만에 이해하기

EV/EBITDA, 10초만에 이해하기

제무재표를 살피다 보면 EV/EBITDA라는 지표를 볼 수 있다. 검색해보면 뜻이나 약어에 대한 설명은 잘 나와있는데, 읽어도 뭔말인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짧게 몇문장으로 요약해보겠다.EV는 기업의 총 가치를 말한다.
PER을 계산할때의 시가총액과는 차이가 있다.
시가총액은 부채같은 순차입금은 계산에서 제외하는데, EV는 시가총액에 순차입금을 고려한것이다. 그러니까 어떤기업을 누군가 산다고 할때, 그 기업이 부채가 껴있으면 EV는 시가총액보다 낮아질것이고, 받아야 할 돈이 있다면 EV는 시가총액보다 높아진다. 시가총액이 단지 주식의 투자자적 관점으로만 보는것이라면 EV는 진짜 그 기업을 사려고 고려하고 있는 주체가 살펴보는 수치이다.

EBITDA도 마찬가지이다.

영업이익에서 감가상각과 법인세등을 차감하기 전의 수치이다. PER계산시 당기순이익을 고려하지만, EBITDA는 영업이익에서 이것저것빼기 전의 이익이다. 특히 법인세를 빼지 않는 이유는 각 국가마다 세금제도가 모두 다르기때문에 법인세를 빼버리면 해외에서 우리나라 기업을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기업이 있다면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아예 빼질 않는다.EV/EBITDA는 주가측면의 저평가, 고평가를 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해외 기업들 사이에서의 인수합병 검토시에 그 기업의 재무상태를 전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뼈대가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