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가2

고용유발계수 의미, 취업유발계수, 고용자 취업자 차이 고용유발계수 의미, 취업유발계수, 고용자 취업자 차이 고용유발 계수란 무엇인가? 한국은행이 산업별로 작성 및 배포하고 있는 통계지수로, 10억 원의 재화를 산출할 때 창출되는 고용자 수를 뜻한다. 10억 원 상당의 특정 재화 생산에 직간접적으로 소요된 취업자의 수이다. 취업계수를 보완하기 위한 취지로 측정되어 발표하고 있다. 10억이라는 수치와, 고용자수이다. 취업유발계수라는 것도 있는데, 취업자는 고용자보다 더 큰 범위이며, 고용자가 임금근로자를 의미한다면, 취업자는 임금근로자는 물론 고용주, 자영업자 등 소득을 목적으로 1주일에 1시간 이상을 일터에서 보내는 사람을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더 넓다. 마찬가지로 취업유발계수는 10억 원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기여한 취업자의 수이다. 산업별로 다.. 경제관련 2023. 1. 26.
FMCG 뜻, 한방에 이해하기 FMCG 뜻, 한방에 이해하기 FMCG란? FMCG는 'Fast-moving consumer goods'라는 문장의 각 단어의 앞글자를 딴 약칭이다. 우리말로 해석해 보면 빠르게 움직이는 소비상품(?)인데, 가격이 저렴하여 순환 사이클이 빠르게 공급 유통되는 상품들을 의미한다. 공급이 빠르게 유통되는 상품들에는 무엇이 있을까? 생각해 보자. TV와 냉장고와 같은 전자제품은 한번 사면 기본 10년 이상씩은 사용한다. 중간에 고장 나더라도 워낙 고가의 제품이기 때문에 수리를 해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옷은 어떨까? 옷도 마찬가지로 마음에 들지 않는 옷이 아니라면 꽤 오래 입을 것이다. 이런 것들은 FMCG 소비재라고 보기 어렵다. FMCG는 세면용품, 위생용품 등과 같이 우리가 집에서 생활하면서 사용하는 소모.. 경제관련 2022.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