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법칙이란, 도미노 이론 사례, 중대사고 직전의 경미한 사고
하인리히 법칙이란, 도미노 이론 사례
하인리히 법칙 뜻
어떤 큰 사고가 발생했다면, 그 사고가 있기 전까지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한다는 법칙이다. 이를 바꿔 말하면 큰 사고는 갑자기 어떤 순간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경고성 징후와 전조 사건들이 수없이 많이 나타났음에도 이것들을 제대로 조치하지 못한 채 방치할 때 비로소 큰 사고로 이어진다는 이론이다.
미국 트래플러스 보험회사 근무자였던 하버트 윌리엄 하인리히라는 사람이 발견한 법칙이다. 하인리히는 재해 관련 통계를 분석하던 도중에 어떤 재해가 발생한 상황에서 공통적인 부분을 발견했다. 이 법칙은 하인리히의 1:29:300이라는 법칙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1번의 큰 사고 전에 29번의 중형 사고,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연관된 경미한 징후들이 300번이 곳곳에서 나타난다는 것이다. 삼풍백화점 사례로 자주 소개되곤 한다. 삼풍백화점 붕괴 직전 에어컨 진동으로 건물에 균열이 발생했고, 한참 후에 붕괴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후 이 법칙은 하인리히의 재해예방 5단계로도 알려져 기업의 안전교육에서 자주 소개되곤 한다. 도미노 이론이라는 것도 있다. 재해가 발생하기 전에는 마치 도미노처럼 모든 현상이 연결되어 있다는 이론이다. 도미노처럼 연결되어 있는 특성이 있으므로, 중간단계에 위치한 도미노 블록을 하나 제거하여 재해로 이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한다.
어떤 일이든 경미한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즉각 확인하고 대처해야만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인리히 법칙 개념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 되는 글
2023.11.08 - [경제용어] - 탄광속 카나리아, 경제 위기 신호를 상징하는 말
탄광속 카나리아, 경제 위기 신호를 상징하는 말
탄광속 카나리아 뜻 탄광 속 카나리아라는 말은 곧 닥칠지도 모르는 위험에 대해 미리 알려주는 존재, 혹은 그런 신호 등을 일컫는 말이다. 경제 불경기에 진입하기 전 불황을 알리는 신호가 경
danbi-zoa.tistory.com
2021.08.29 - [경제용어] - 파레토의 법칙, 10초만에 이해하기
파레토의 법칙, 10초만에 이해하기
파레토의 법칙, 10초 만에 이해하기 파레토의 법칙이란?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라는 사람이 영국의 부와 소득분배 모델을 연구하다가 한 가지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했다. 전체 인구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