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2C 뜻, 고객과 직접 거래하는 기업, 유통플랫폼 대신 자사몰

에버단단 2022. 8. 23.

D2C 뜻, 고객과 직접 거래하는 기업, 유통 플랫폼 대신 자사몰

D2C,용어설명-섬네일
D2C 뜻, 고객과 직접 거래하는 기업

D2C란?

D2C는 Direct to Customer 의 약칭이다. 제조기업이 유통 플랫폼을 거치지 않고 고객에게 직접 제품을 판매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나이키 같은 신발 제조업체가 쿠팡이나 네이버 쇼핑에서 빠져나와 자사몰로 고객들을 유입해 구매전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식이 바로 대표적인 D2C이다.

많은 기업들이 D2C에 주목하는 이유는 결국 유통 비용이다. 유통을 위해 이커머스 기업들에 떼어가는 수수료와 각종 광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니 과도하게 집중 권력화 되어 가는 현재 이커머스 플랫폼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고객들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를 입수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과거의 방식이라면 이커머스 기업들이 공유해 주지 않는 이상 고객의 정보를 알 길이 없었다.

이렇듯 자사몰로 유입된 고객의 구매패턴 분석과 관심사 조회 등을 통해 마케팅 전략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에 수많은 기업들이 D2C 시장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D2C의 개념은 단순히 유통뿐만 아니라 SNS를 활용해 마케팅 비용을 절감하는 등, 기업이 민간인과 같은 눈높이에서 자신의 제품을 홍보하고 알리는 일련의 활동들 전체를 아우르는 말이라고 볼 수 있다.

고객과 가장 가까운 필드에서 고객의 입장을 공감할 수 있는 방식이기에 요즘같이 팍팍한 시대에 더 주목받는 마케팅, 브랜딩 전략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최근에는 1인 셀러들 또한 카페 24와 쇼피 파이와 같은 자사 물 제작 설루션 등을 이용하여 이커머스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심지어는 대형 브랜드들을 뛰어넘는 수준에 달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