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이븐 뜻, 미국 일반 국채와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의 수익률 격차, 기대인플레이션 지표
브레이크 이븐 뜻, 미국 일반 국채와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의 수익률 격차, 기대인플레이션 지표
브레이크 이븐이란?
브레이크 이븐(Breakeven Inflation Rate) BEI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미국 국채와 미국의 물가연동 채권(TIPS) 간 수익격차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물가연동 채권은 말 그대로 물가와 연동하여 그 수익률이 증가하는 채권으로 미국 재무성이 1997년 도입한 채권이다.
물가 연동 국채는 일반 국채를 들고 있는 채권자들의 손해를 가능한 한 보상해주자는 아이디어에서 탄생한 채권이다. 일반적인 채권과 동일하게 표면금리가 정해져 있지만 물가가 오르면 채권의 원금이 늘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원금 자체가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라 조정되도록 보장이 된 상품이기 때문에 물가가 오르면 원금도 오르게 되는 구조이다. 그럼 이 채권의 수요는 증가하고 채권이 시장에서 팔리는 가격은 프리미엄이 붙어 팔려 금리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국채의 수요보다 더 많아질 것이므로, 물가연동채의 금리는 일반적인 국고채 금리보다 더 낮아질 것을 예측해볼 수 있다. BEI는 이 금리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BEI가 커지면 물가상승 압력이 더 심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