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단가 뜻, 판매 마진을 높이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
객단가 뜻, 판매 마진을 높이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
객단가란?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에 있어서, 일정 시간의 매출을 구매자의 수로 나눈 값을 객단가라고 칭한다. 즉 고객 1인당 평균 판매금액이다.
객단가는 1명의 고객당 내 상품과 서비스가 개당 얼마에 판매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는 직접적인 지표인 셈이다. 마케팅의 3원칙에서 강조하는 유입(트래픽), 구매전환, 객단가 중 한 개의 요소이다. 일단 유입과 구매전환이 일어난다면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아무리 사람들이 많이 찾아오고(유입이 잘 되고), 구매전환으로 잘 이루어진다 한들, 객단가가 낮다면, 높은 매출을 일으킬 수 없다.
객단가는 높이는 것이 좋지만, 높일수 있는 상품성이 있어야하므로, 결국 객단가를 높이겠다라는 말은 상품의 질과 수준을 올린다는 말과 같다. 상품의 퀄리티가 그대로인데, 가격만 올리는 것을 객단가를 올리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객단가가 높아야 같은 구매전환횟수가 발생하더라도 높은 마진을 남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객단가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히 품질이 보장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 가치가 고객들로부터 인정받아야만 가능하다.
소비자에게 그 가격에 그 상품을 살 수 있는 근거와 기반을 마련해야한다는 것이다.
사실 이런 점이 마케팅에서 가장 어려우면서도 신경써야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유입은 오프라인에서는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거나, 온라인의 경우 광고비를 많이 때려쓰면 얼마든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유입이 발생하면, 이들 중 일부는 구매전환이 생기기 마련이다. 상품을 잘 진열해두거나, 상세페이지를 멋지게 만들어놓으면 구매전환도 당연히 생긴다. 그런데, 객단가를 높이는 것은 좀 더 근본적인 차원으로 접근해야 하므로 마케팅에서 가장 어려운 지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말했듯이 오프라인 마케팅에서는 매장면적을 넓히거니 매대 상품진열 변경 등을 통해서도 객단가를 높일 수 있다. 온라인에서는 상세페이지 후킹 문구나 묶음상품을 등록하는 사소한 작업만으로도 객단가를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객단가의 개념에 대해 짧게 알아보았다.
객단가와 관련된 함께 알아두면 도움될만한 개념
2022.09.20 - [경제용어] - ROI 뜻, 투자대비 수익률, 투자행위로 인한 효율, 광고효과분석 수단일까?
ROI 뜻, 투자대비 수익률, 투자행위로 인한 효율, 광고효과분석 수단일까?
ROI 뜻, 투자 대비 수익률, 투자행위로 인한 효율, 광고효과 분석 수단일까? ROI 개념 ROI는 Return On Investment의 약자로, 투자대비수익률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투자'라는 행위를
danbi-zoa.tistory.com
2022.07.25 - [경제용어] - 구매전환율 CVR 뜻. 광고 클릭 후 실제 구매로 이어진 비율
구매전환율 CVR 뜻. 광고 클릭 후 실제 구매로 이어진 비율
구매전환율 CVR 뜻. 광고 클릭 후 실제 구매로 이어진 비율 구매전환율이란? 구매전환율은 CVR(Conversion Rate)라고도 불린다. 이는 전환수(구매 횟수)에 클릭수를 나눈 비율을 의미하는데, 어떤 광고
danbi-zoa.tistory.com
2022.07.29 - [경제용어] - ROAS 뜻, ROI와의 차이점, 광고대비 수익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확인
ROAS 뜻, ROI와의 차이점, 광고대비 수익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확인
ROAS 뜻, ROI와의 차이점, 광고 대비 수익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확인 ROAS란 무엇일까? ROAS는 'Return on Ad Spend'의 약칭으로 '광고비용 대비 수익률'을 의미한다. 어떤 제품을 판매하는 주체들은 제품을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