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펜재 뜻, 열등재 소득효과 대체, 아일랜드 감자 대기근 사례

에버단단 2023. 1. 17.

기펜재 뜻, 열등재 소득효과 대체, 아일랜드 감자 대기근 사례

기펜재 뜻
기펜재 뜻, 열등재 소득효과 대체, 아일랜드 감자 대기근 사례

기펜재란?

일반적으로 재화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수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늘어나고,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이 감소한다.

그러나 재화의 가격이 하락할 때, 수요량도 함께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식으로 수요의 법칙에 위배되는 재화를 기펜재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을 처음 확인한 것이 기펜이라는 경제학자이기 때문이다.

기픈재현상-저울



다른 말로 기픈재(Giffen good)이라고도 한다. 기픈재 현상은 기본적으로 열등재인 전제하에 발생한다.

 

열등재란 소득이 늘면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이다.

 

이를 테면 소비자들의 소득이 늘었을 때, 소고기 수요가 늘고, 돼지고기의 수요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때 전자는 정상재, 후자는 열등재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열등재는 사회인식에 의해서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여기서 잠깐!
이 쯤 공부하면 꼭 알아야하는 경제상식, 대체재 보완재

 

 

기펜재의 대표적 사례, 아일랜드 감자 기근

19세기 아일랜드에서 발생한 감자 기근은 기펜재 현상을 이해하는데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이다.

 

당시 흉년으로 인해 감자 가격이 급등했으나,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식량이 부족했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은 다른 소비를 줄이고 감자 구매에 더 많은 자금을 쓸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감자의 수요는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증가하였고, 이는 가격 상승을 더욱 부추겼다.

 

기펜재-감자-대기근
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무시하고 폭등한 감자 값.

 

 

 

현대 사회에서의 기펜재 현상

현대 경제에서 기펜재 현상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소비자들이 다양한 선택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대체재의 존재와 급변하는 시장 조건 하에서 기펜재와 같은 경제적 이례는 흔치 않으며, 일반적으로 시장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 즉 보이지 않는 손의 원리을 따르는 경향이 크다.

 

기펜재 현상은 특정 역사적 맥락과 경제적 조건 하에서만 발생하는 드문 현상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시장 경제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경제 이론이 모든 현상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기픈재, 기펜재 개념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사치재 뜻, 수요가 쉽게 변동하는 사치재, 소득탄력성과의 관계

사치재 뜻, 수요가 쉽게 변동하는 사치재, 소득탄력성과의 관계 사치재란 무엇인가? 사치재란 이름 그대로 '사치'스러운 성격을 띤 재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누군가 사치스럽다고 생각해서 사치

danbi-zoa.tistory.com

 

대체제 보완재 차이, 재화와 재화와의 관계에 따라 결정

대체제 보완재 차이, 재화와 재화와의 관계에 따라 결정 대체제 보완재 구별 경제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다 보면 대체재와 보완재에 관한 개념을 꼭 한 번은 접하게 된다. 대체재와 보완재는 두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