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일종목 etf, 금융투자업 법 개정으로 무엇이 바뀌었나

펀더멘토 2023. 2. 2.

단일종목 etf, 금융투자업 법 개정으로 무엇이 바뀌었나

단일종목 ETF 용어 설명 첫화면

단일종목 etf란?

ETF는 상장지수펀드로 펀드이긴 펀드인데, 주식시장에 상장된 펀드를 의미하며 익히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법률적으로 ETF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10 종목 이상을 적절한 비중으로 나누어 편입해야 했었다.

펀드라는 것은 일종의 분산투자라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위험률이 주식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낮다고 여겨지며, 상장지수펀드인 etf도 그의 일종이라고 분류했기 때문에 입법자체가 그렇게 된 것 같다.

그러나 22년 8월 금융투자업 법 개정으로 인해 단일종목으로도 ETF가 가능해지게 되었다. 원래는 ETF는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으로 나누어져 최소 10종이상을 포함하게끔 되어 있었다. 문제는 주식형인 경우 주식형 자산만 10종, 혼합형인 경우 주식 10종, 채권 10종 이상, 채권형인 경우 채권형 10종이상을 포함해야 했다.

그러나 개정 이후 자산유형 구분 없이 총 10종 이상만 포함하면 되므로, 주식형 종목을 1종만 추가하고 나머지 9종은 채권형을 추가하면 문제없게 되었다.

테슬라와 같은 주력 종목 한 종목을 내세우고 나머지 9개는 채권형으로 몰아넣는 것이 바로 단일종목 etf다. 말이 단일 종목이지 사실상 10가지 다른 자산이 들어가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