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준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폴 볼커의 실수

에버단단 2023. 9. 12.

폴볼커의실수
폴볼커 연준의장은 누구의며, 무슨 실수를 하였는가?

폴 볼커 연준의장의 볼커쇼크 경과 배경

폴 볼커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12대 연준 의장이다. 지미 카터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절 연준의장을 8년간 재임했다. 7080 시절, 오일쇼크 등으로 미국 경기침체가 급격히 심화되자 파격적인 화폐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 안정화에 성공한 실적을 갖고 있다. 인플레이션 파이터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강경한 물가안정정책을 구사했다. 폴 볼커는 1979년 기준금리 4% 인상을 단행하며 물가를 잡기 위한 통화정책을 실시한다. 은행금리는 무려 20%에 육박했다. 1981년 대출금리를 감당해내지 못한 많은 이들이 시위를 벌이고,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었다. 그러나 볼커는 인플레이션을 잡지 않을 수는 없었기 때문에 21.5%의 기준금리를 계속 유지하였다.

1981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시중 유동성이 줄고 인플레이션이 잡히기 시작했다. 미국은 비로소 1987년에는 다우지수가 다시 2000선을 돌파하며 경기회복국면에 들어섰다. 물가안정을 실현한 대표적인 사례로 알려져 있다. 볼커의 금리인상은 그 당시에는 감당해 내기 정말 어려운 수준의 금리부담이었으므로 '볼커 쇼크'라고도 불린다. 갑작스럽게 높아진 금리인상을 시장에 견디지 못하고 스태그플레이션을 맞게 되었다.

폴볼커의 실수

인플레이션이 잠시 잡히는 듯하여 볼커는 금리인하를 시행하였는데, 인플레이션이 다시 뛰기 시작한다. 이 시점에서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을 볼커의 실수라고 부른다. 정리하면, 볼커쇼 크는 12대 연준의장 폴 볼커의 강력한 매파적 통화정책으로 유동성이 흡수되고 스태그 플레이션에 빠지게 된 상황을 의미하며, 4개월 뒤 인플레이션이 잡히는 것 같다고 바로 금리인하를 했다가 시장 유동성이 급격히 증가한 상황을 두고 볼커의 실수라고 부른다.

함께 알아두면 도움 되는 글

2023.11.29 - [경제용어] - 한국 금리인상 발표, 도대체 금리가 뭐길래? 쉽게 이해하기

 

한국 금리인상 발표, 도대체 금리가 뭐길래? 쉽게 이해하기

금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쉽게 이해해보자 금리라는 것은 돈의 가격이다. 그런데 이 금리는 경기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경기는 뜨거워지느냐, 차가워지느냐 등의 온도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

danbi-zoa.tistory.com

2022.05.15 - [경제용어] - 빅스텝 뜻, 미국 금리 인상, 물가상승 긴축의 시대 어디까지 갈까

 

빅스텝 뜻, 미국 금리 인상, 물가상승 긴축의 시대 어디까지 갈까

빅 스텝 뜻, 미국 금리 인상, 물가상승 긴축의 시대 어디까지 갈까 빅 스텝이란? 통상적으로 연준(연방준비제도, Fed)에서 금리를 조절할 때는 0.25%씩 움직인다. 그래서 이 수치를 보통 'One Step'이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