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리인상 발표, 도대체 금리가 뭐길래? 쉽게 이해하기
금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쉽게 이해해보자
금리라는 것은 돈의 가격이다. 그런데 이 금리는 경기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경기는 뜨거워지느냐, 차가워지느냐 등의 온도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경기온도라는 말도 보편적으로 쓰인다. 경기의온도는 경기(game), 즉, 레크레이션 분위기와 비슷하다. 재밌어져서 게임이 막 하고싶어지고 너도나도 참여하고 싶어지면 뜨거워진 분위기라고 할 수있다.
레크레이션이 재미없으면 몇사람만 참여하고,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시들시들 차가워진다. 경제도 마찬가지로 시장참여자들이 많아지면 뜨거워진다. 이렇게 뜨거워지면, 사회자(정부)는 너무 흥분한 사람들을 가라앉히기 위해서 기준금리를 조정하거나 가지고 놀만한 게임을 다시 집어넣는다. 너무 흥분하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레크레이션은 재미있는 정부가 일부 주도하기도 하지만 그와 더불어 시장참여자들 주변환경, 게임의 컨텐츠 등 수많은 요소가 분위기를 자쥐우지 한다. 경제의 분위기도 마찬가지이다. 정부가 기준금리를 올려도 수많은 변수들로 인해서 시장에서 알아서 분위기를 달구거나 식힌다. 게임에 열광하는 사람이 많아지는 것처럼 경제도 수많은 변수들로 시장참여자가 많아지고 적어진다. 즉, 경기의 온도가 오르내리는 이유는 딱 정의할 수가 없으며, 경기의 온도가 너무 올라가면 금리는 낮아지는 쪽으로, 경기의 온도가 너무 식어있으면 금리는 올리가는쪽으로 움직인다. 금리가 오르게 되면 일단 목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승리한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돈을 갖고 있는 사람은 버티면 된다. 그러나 목돈이 없이 현금흐름만을 창출하는 시스템만을 소유한 자들은 그 가치가 떨어진다. 다음 예에서 한번 살펴보자
금리인상 발표, 컨텐츠 가치도 이에 따라 변한다
금리인상이 발표되면 왜 힘들어진다고 하는건지 아래 글까지 꼼꼼히 읽으면 이해가 될 것이다. 금리가 오르면 현금을 모아두려는 힘이 작용한다. 현금이 귀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면 재화나 서비스를 파는 사람들은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기때문에 매출이 떨어지고 장사가 잘 안된다. 일반적인 기업의 모습이다.
그런데 블로그, 유튜브와 같은 컨텐츠 가치도 금리 인상기에는 가치가 줄어든다. 왜 그럴까? 이걸 이해해야 금리의 개념을 확실히 이해했다고 볼 수 있다.
생각해보다. 금리가 낮을때와 높을때, 동일한 현금흐름을 보인다면 금리가 낮을때 더 높은 가치를 갖는 것이다. 즉, 경제위기가 되면 목돈을 가진자의 몸값이 올라가고 매달 꾸준히 받는 돈의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가치가 떨어진다. 예를 들어 하루에 1천원을 벌어들일 수 있는 시스템(유튜브, 블로그, 기업 등 반자동 불로소득)있다고 치자. 이것은 시장금리가 4%일때 1천만원정도를 굴리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즉, 시장금리가 4%인 상황이라면 나에게 1천원을 만들어주는 시스템의 가치가 1천만원이라는 의미다.
그런데 시장금리가 높아지면 어떻게 될까. 시장금리가 8%로 오르면, 1천원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의 자산가치는 1천만원이 아니라 5백만원으로 내려간다. 즉 반감한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광고로 수익을 발생시키는 사람들은 광고수익 단가가 내려간다.(광고 걸려는 투자자들이 없어진다.) 컨텐츠의 가치가 떨어지는 동시에 광고수익도 떨어지기 때문에, 이중타격을 받는다는거다. 즉, 시스템을 소유한자는 손해를 보는 것이 바로 “금리 인상”이라는 키워드이다. 그러나 현금을 소유한자는 반대로 금리 인상에 미소짓는다. 기업을 소유한 자(경영인, 대주주 등 지분이 있는 자들)도 엄연히 반자동 불로소득 시스템을 소유한 사람이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금리인상기에는 이들이 어려워지는 포지션이 되는 것이다.
금리인상 관련된 주제의 글,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2023.09.12 - [경제용어] - 연준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폴 볼커의 실수
연준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폴 볼커의 실수
폴 볼커 연준의장의 볼커쇼크 경과 배경 폴 볼커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12대 연준 의장이다. 지미 카터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절 연준의장을 8년간 재임했다. 7080 시절, 오일쇼크 등으
danbi-zoa.tistory.com
2022.06.22 - [경제용어] - 자이언트 스텝 뜻, 한미 금리 역전으로 자본이탈 발생하나
자이언트 스텝 뜻, 한미 금리 역전으로 자본이탈 발생하나
자이언트 스텝 뜻, 한미 금리 역전으로 자본이탈 발생하나 자이언트 스텝 뜻 자이언트 스텝이란 기준금리를 0.75% 인상하는 것을 말하며, 0.5%를 인상하는 빅 스텝에서 한 단계 더 높은 강도의 유
danbi-zoa.tistory.com
2021.12.23 - [경제용어] - 금리 인상, 금리 인하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금리 인상, 금리 인하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금리 인상, 금리 인하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금리란? 금리라는 것은 돈의 가격을 의미한다. 우리 주변에서 찾아보는 제품의 가격이 공급과 수요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금리 또한 공급과 수요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