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이언트 스텝 뜻, 한미 금리 역전으로 자본이탈 발생하나

기버단단 2022. 6. 22.

자이언트 스텝 뜻, 한미 금리 역전으로 자본이탈 발생하나

자이언트 스텝 용어설명 섬네일

자이언트 스텝 뜻

자이언트 스텝이란 기준금리를 0.75% 인상하는 것을 말하며, 0.5%를 인상하는 빅 스텝에서 한 단계 더 높은 강도의 유동 회수 긴축 전략이다. 미국의 연준(연방준비제도) Fed가 정기적으로 FOMC에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 데,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기 위해 금리를 올려 대출수요를 진정시키고, 예적금 수요들을 일으켜서 화폐가치 폭락을 막는 것이다.

돈은 기본적으로 시장에 풀려있는 동안 이리저리 떠돌면서 자산 가격을 상승시키고 화폐가치를 떨어트린다. 돈이 희소해지면 그때서야 돈이라는 화폐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자산의 가격보다 오르게 되어 있는데, 바로 이점을 노리고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인상폭에 따라서 스몰스텝 빅 스텝, 자이언트 스텝으로 나뉜다.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면 사실상 한국과 같은 신흥국 시장(이머징마켓)에서는 고민이 많다. 한국의 기준금리를 따라 올리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미국의 자산으로 자본이 이탈하는 자본이탈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은행에 금리 높은 예적금 상품들을 찾아다니는 것처럼, 글로벌 투자자들도 세계 곳곳에 투자를 하며 재테크를 하는데, 이머징마켓은 선진국 시장보다 금리가 더 높다. 선진국에 비해 하이일드 프리미엄이 적용되는 것이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분류되지 못하는 이유는 MSCI 편입과도 관련이 깊은데, 여러 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보면 아직까지 아쉽게도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보다는 기준금리가 높아야지만 외국인 투자자는 우리나라 자산을 사러 들어오기 시작한다. 만일 금리가 낮으면 굳이 구태여 대한민국이라는 리스크가 존재하는 국가에 투자를 섣불리 하지 못할 것이다. 우리가 브라질이나 필리핀 고금리 채권에 투자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그러니, 미국이 금리를 빠르게 올리자, 우리도 따라 올리지 않으면 안 되는데, 문제는 우리도 대출로 영끌, 빚투를 많이 한 상태이기 때문에, 끌어올리면 끌어올릴수록 빚을 지고 자산을 매입한 많은 이들이 상환해야 할 이자의 몫이 증가한다. 그래서 한국은행도 이런 경우 섣불리 움직이지 않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