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각심을 일깨우다 의미, 주의를 기울이고 경계하는 행위

에버단단 2023. 12. 7.

경각심을-일깨우다-용어설명
경각심을 일깨우다 의미, 주의를 기울이고 경계하는 행위

경각심을 일깨우다 의미

경각심을 일깨우다라는 표현의 뜻은 '어떤 상황에서 주의를 기울이고, 경계태세를 유지하며, 조심하도록 자각시킨다'라는 의미이다.

경계근무-초소의-모습
군인은 경각심을 갖고 경계근무에 임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군부대의 지휘관은 경계근무를 하는 병사들에게 항상 경각심을 일깨워주어야 하며, 매출이 떨어지고 있는 회사대표는 회사직원들에게 회사가 힘든 상황에 놓여있으니 경각심을 일깨워주어 회사일에 더욱 매진하도록 해야한다. '경각심'이라는 단어가 정신을 차리고 주의 깊게 살피어 경계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 심리를 '일깨워', '자각시켜'주는 행위가 바로 경각심을 일깨우는 것이다.

경각심 뜻

경각심은 '경계할 경'자에 '깨달을 각', '마음 심'자를 써서 정신을 차리고, 지금 상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조심하는 마음 자체를 의미한다.

무조건 긍정적이기 보단 경각심을 일깨워야 하는 이유

우리는 어떤 상황이든지 경각심을 내재한 상태로 임해야한다. 경각심은 부정적인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긍정적인 것이 좋은 심리 아닌가요?'라고 묻는다면 물론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고 할 수 있다. 인간 내면은 항상 긍정과 부정이 교차하는 원리로 성장이 다다른다. 무조건적인 긍정과 낙관만으로는 문제를 인지하거나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을 수없다.

수리하는-모습
어떤 부분에 문제가 생겼으면, 고치려는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때로는 비판적이고 회의적인 관점으로 지금 내가 처해있는 문제를 면밀히 관찰하고 정정이 필요한 부분에는 과감하게 손을 댈 필요도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모든 상황을 회의적이로 염세적으로 바라봐서도 안된다. 부정적인 감정은 부정적인 피드백을 유발시켜 심리자체가 항상 스트레스에 놓여있기 만든다. 이 또한 좋은 방법이 아니다. 적당한 스트레스와 적당한 긍정적인 감정이 가장 좋은 심리 상태이다. 무엇이든 긍정과 부정이 적절한 상태로 교감할 때 적절한 도파민으로 추진력과 실행력, 그리고 관찰력을 통한 개선점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경각심 뜻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경각심에 관련된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더욱 도움이 되실 수도 있습니다. 하인리히라는 사람이 통계를 기반으로 발견한 법칙인데, 경미한 사고들에 경각심을 느끼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목하는 순간 중대한 사고, 큰 사고로 이어진다는 이론입니다. 참고해보시면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2022.08.13 - [경제용어] - 하인리히 법칙이란, 도미노 이론 사례, 중대사고 직전의 경미한 사고

 

하인리히 법칙이란, 도미노 이론 사례, 중대사고 직전의 경미한 사고

하인리히 법칙이란, 도미노 이론 사례 하인리히 법칙 뜻 어떤 큰 사고가 발생했다면, 그 사고가 있기 전까지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한다는 법칙이다. 이를 바꿔 말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