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ST ETF, 미국 금융 섹터 지역은행 관련주 3배 레버리지 전략
DPST etf는 Direxion Daily Regional Banks Bull 3X Shares의 약자로, 미국의 금융 섹터 중 특히 지역은행 관련 주식들을 기반으로 하는 3배 레버리지 ETF인데요. 레버리지 etf 하면 다들 알고 계실 그 유명한 Direxion에서 운용하는 상품으로, 투자자들이 미국의 지역은행 주식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세 배로 추종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DPST ETF의 투자전략
- 3배 레버리지: DPST는 미국 지연은행의 동일 가중치 인덱스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입니다.
- 기초 자산: DPST의 기초 자산은 S&P Regional Banks Select Indust TR USD 라 불리는 미국 index를 기준으로 합니다. 주로 미국 중소형 은행들을 포함하고 있는 지수인데요. 이는 대형 금융기관보다는 지역 단위에서 활동하는 은행들의 주가를 반영하도록 만들어진 지표이죠.
- 단기 투자에 적합: 3배 레버리지 ETF는 일일 수익률을 목표로 하기에, 장기 보유보다는 단기 투자가 적합합니다. 레버리지 etf의 공통적인 특성입니다.

AUM은 800M가 안되는 수준으로 적은 축에 속합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etf라고 볼 수 있겠지요. Expense ratio도 높은 수준이죠.
DPST 최근 주가현황
하지만 시킹알파 주가 현황을 확인해보니 DPST etf는 1년 동안 137.27%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DPST 보유종목 알아보자
아래는 마켓워치의 자료를 참고하였는데요. 미국 주식 사이트는 많이 알면 많이 알아둘 수록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래 보시면 생소한 기업들이 많습니다. FTIXX, DGCXX, RF, MTB, CFD, HBAN, TFC, FHN, ZION, DIRXX 등

- FTIXX (Financial Square Treasury Instruments Fund FST Shares) - 주로 미국 국채와 같은 안전한 국채에 투자하여 유동성 확보와 자산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
- DGCXX (Dreyfus Government Cash Management Institutional Shares) - 미국 정부 채권과 현금성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
- RF (Regions Financial Corp.) - 미국의 지역 은행으로, 주로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 MTB (M&T Bank Corp.) - 미국 동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금융 서비스와 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지역 은행
- CFG (Citizens Financial Group Inc.) -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에 걸쳐 광범위하게 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회사
- HBAN (Huntington Bancshares Inc.) - 중서부 지역에서 활동하는 대형 금융 지주 회사
- TFC (Truist Financial Corp.) - 미국 남동부를 중심으로 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금융 회사
- FHN (First Horizon Corp.) -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활동하는 금융 회사
- ZION (Zions Bancorp N.A.) - 미국 서부와 남서부 지역에 주로 기반을 둔 금융 서비스 회사
- DIRXX (Dreyfus Treasury Securities Cash Management Institutional Shares) -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현금 관리 펀드
각 종목은 안정성과 유동성, 그리고 수익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포트폴리오에 편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다이렉슨이 3배 레버리지를 구사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들인 셈입니다.
DPST ETF 배당금
1주를 투자하면 현재 기준 약 1.77% 로 1주당 $0.5수준의 배당금을 매 분기 지급받게 됩니다. 지난 분기 배당지급일은 10/1로 확인됩니다. 국내의 경우 이보다 영업일 기준 1~2일 정도 늦게 지급될 수 있습니다.

투자 고려 사항은 무엇일까?
은행주 ETF다 보니 고려해야할 가장 큰 변수는 결국 금리겠죠.
미국의 금리 인상, 금융 규제 강화, 경제 불확실성등이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지역은행들은 대형 은행들보다 금리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지역은행에 고르게 투자하며 레버리지 수익을 내고 싶으신 투자자분들께서는 유의 깊게 살펴보셔도 좋겠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미국 지역은행에 배분하여 투자하는 DPST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준에서 다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조금씩 시장에 들어내고 있는데요.
그렇게 되면 단기적으로 dpst와 같은 금리 민감주들은 빠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모아 할 주식은 아니며 3배 레버리지인 만큼 단기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하니 전략적으로 운용해야겠죠. 참고 부탁드립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필수 상식
QQQI ETF 배당 정보, 나스닥 커버드콜 QYLD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
QQQ라는 etf를 들어보셨다면, QQQ의 커버드콜 전략을 구사하는 QQQI에 대해서도 알아두시면 좋을 듯합니다. 일반적으로 S&P와 다우존스 지수의 커버드콜인 JEPQ나 JEPI 많이 투자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danbi-zoa.tistory.com
MOAT ETF, 경제적 해자 기업만 골라서 투자하는 펀드
MOAT ETF라는 상장지수펀드 티커 들어보셨나요? 시장에서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은 기술력을 갖춘 사실상 독점기업들, 즉 경제적 해자를 갖춘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자세히 한
danbi-zoa.tistory.com
botz etf, 로봇공학 및 AI산업에 분산 투자하는 비법
BOTZ ETF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미래에셋의 자산운용사 global X에서 운용하는 로봇 공학 관련 etf입니다. 최근 스마트 팩토리 기술이 도입되고, 인력 부족과 품질향상 등으로 인한 자동화 대체 기술
danbi-zoa.tistory.com
블루칩 뜻, 용어와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 www.wealthassets.co.kr
신문이나 경제 관련 기사를 보다 보면 가끔 "블루칩"이라는 용어를 접할 때가 있습니다. 블루칩이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재무 상태가 안정적이고 현금 흐름이 좋은 우량 기업의 주식을 뜻합
www.wealthassets.co.kr
사이버 보안 ETF 7가지 알아보자 - 거인의 경제노트
사이버 보안이 점점 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어요. 특히 요즘 같은 디지털 시대에는 사이버 공격이 계속 늘어나고 있잖아요. 이런 흐름에 맞춰 투자자들도 사이버 관련 산업에 관심이 많아지고
danbizoa.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