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슈머, 크리슈머 뜻, 한방에 이해하기
프로슈머란?
프로슈머라는 말은 미래학자 엘빈 토플러가 저서 "제3의 물결"에서 처음 사용하였다고 한다.
공급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이다.
즉, 공급자와 소비자의 특성을 동시에 지닌 사람을 프로슈머라고 한다.
정보의 유통으로 인해 허물어진 벽
과거 제2의 물결이 산업사회 당시만 해도 공급자와 소비자는 서로 건널 수 없는 벽이 있었다.
소비자는 무언가 만들어 판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공급자는 계속 상품성을 살리기 위해 철저히 내부정보를 보안하고, 연구개발을 지속해야 했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그런 정보의 해리현상이 많이 해소가 되었다.
그래서 소비자라 할지라도 새로운 생산자가 되기 위해 조금만 교육받으면 그것이 가능해졌다.
발명가가 되라
부의 추월차선의 저자 엠제이 드마코는 부를 얻기 위해서는 '발명가'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발명가는 곧 '무언가를 만드는 사람', 즉 공급자, 내지는 생산자에 해당한다.
무언가를 소비하는데 익숙해지지 말고, 돈을 벌기 위해서는 무언가를 팔 수 있는 사람이 되라고 말이다. 그것이 서비스가 될 수도 있고, 참신한 무언가를 개발해서 파는 것이 될 수도 있다. 그 선택의 폭은 매우 넓다.
크리슈머
프로슈머는 일반적으로 공급자와 소비자, 두가지를 모두 갖춘 사람들이라고 하였다. 어느 한 축에 놓여있지 않고, 소비자인 동시에 공급자인 셈이다. 사실 소비자의 포지션에 있느냐, 아니면 프로슈머의 포지션에 있느냐 둘 중 하나다. 만약 프로슈머가 되기를 결정했다면, 여러가지 방법론이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자신이 콘텐츠(블로그나 유튜브 등)를 만들어 파는 사람이 되었다면, 프로슈머 중에서도 '크리슈머'에 해당한다.
크리슈머라는 말은 창작자(Creator)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이다.
프로슈머와 동일한 맥락이지만, 프로슈머의 공급자(Producer)의 의미는 단순히 어떤 서비스나 재화를 만들어서 판매하는 의미라면 크리슈머의 창작자(Creator)는 지금까지는 없었던 혁신적인 아이템을 고안하여 판매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프로슈머, 크리슈머와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2022.01.05 - [경제용어] - 체리피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체리피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체리피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체리피커(Cherry Picking) 개념 이해하기 체리피커는 '자신의 실속만 차리는 소비자를 일컫는 말'로 정의된다. 이 용어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케이크에 체리가 놓여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