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급탄력성 뜻, 가격변화에 대한 공급량은 얼마나 민감할까

에버단단 2022. 4. 1.

공급 탄력성 개념,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량은 얼마나 민감할까

공급탄력성

공급 탄력성이란?

가격 변화에 따른 공급의 변화율 내지는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그래서 공급 탄력성 지표는 공급량의 변화율/가격의 변화율로 나누어 계산한다. 분모는 가격이 얼마만큼 변하는지 나타내는 백분율(%)이며, 분자는 공급이 얼마만큼 큰지를 나타내는 백분율(%)이므로, 각각 그 값을 분수를 통해 비교하면 민감도를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수요가 줄고 공급이 많아지게 된다. 비싼 값에 부담을 느끼고 수요를 줄이는 것도 있긴 하지만, 또 비싼 가격으로 차익을 남기기 위해 공급자들이 시장에 진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격 상승률 따라 공급량 증가율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해보면 더욱 확실한 경제분석이 가능하다.

만일 5% 가격이 상승했을 때, 공급량도 5% 증가했다면, 공급 탄력성은 1이라는 값이 된다. 이 때는 가격에 따라 공급량이 탄력적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1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고 0에 가까울 수도 있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다.
어떤 용어에 탄력성이라는 말이 붙으면 어떤 재화가 시장의 가격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알기 위해 만든 지표일 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