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증자, 감자 뜻, 자본금을 늘리거나 줄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주식 증자, 감자 뜻, 자본금을 늘리거나 줄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증자, 감자의 의미
증자 회사의 자본을 늘리는 것, 감자는 회사의 자본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왜 증자나 감자를 하는 걸까?
자본금의 개념을 알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자본금은 주식회사가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들에게 주인이 될 권리를 주고받는 대가이다. 즉, 사업 밑천이 되는 투자금이 바로 자본금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자본금은 주식이 발행된 총액과 같다.
발행주식수에 주식 액면가를 곱하면 바로 자본금이 된다. 이는 시가총액이라고도 한다.
경영을 하다 보면 회사에 사업 밑천인 자본이 더 필요해지는 순간이 온다. 바로 그때,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투자금을 받아 자본금을 늘리는 것이다.
증자에는 크게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있다.
유상증자는 말 그대로 유상(대가를 지불)으로 주식을 발행하여 돈을 받고 정식으로 판매하는 증자 방식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자본금이 필요할 때 채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보다 유상증자가 효율적인 방식이다. 금융기관에 매달 원리금을 상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무상증자는 주식을 주주에게 공짜로 나누어주는 것이다.
돈을 받지 않고 주식을 주주에게 준다는 것은 기업의 회계장부상에서 자본금으로 '이전'을 하여 그 자본금을 충당한다는 것을 말한다. 회사도 장부에는 여러 명목으로 사용될 각기 다른 주머니가 있는데, 다른 주머니에서 자본금으로 충당을 하는 방식인 것이다. 주주들은 공짜로 들어온 보상에 기분이 좋을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인기도 상승한다. 실제로 이런 목적으로 무상증자를 한다. 주가를 일시적으로 올리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기투자를 생각하는 주주에게는 실질적인 자본금이 늘어난 것은 아니므로, 큰 차이가 없다고 봐도 된다.
감자는 증자와 반대로 자본금을 줄이는 것이다. 회사 규모가 줄었거나 적자 손실을 회계처리로 처리하려 할 때 감자를 한다.
자본이 너무 크면 여러 측면에서 기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기도 한다. 또, 자본잠식 상태인 기업들이 적자 손실량을 장표상에서 줄이고 자본금 축소로 처리하려는 방법이다. 자본금이 줄고, 적자도 줄었으니 지표는 좋아지기 때문이다. 감자를 하게 되면 기존 주주들이 가진 주식은 감자 하는 비율만큼 줄어들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