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용어 멀티플 뜻, PER 배수, 주식의 벨류에이션 평가 기준

기버단단 2022. 7. 25.

주식 용어 멀티플 뜻, PER 배수, 주가의 벨류에이션 평가 기준

멀티플 뜻
멀티플 뜻, PER 배수

 

멀티플 개념, PER과 무슨 관계?

멀티플(Multiple)은 우리말로 '배수'를 의미한다. 수학에서 말하는 그 배수이다.

 

기업의 주가가 싼 지 비싼지를 판가름하기 위해서는 그 기업이 실제로 얼마나 돈을 버는지 비교를 해봐야 한다.
아래 두가지 기업을 비교해보고 어떤 기업을 매수해야 할지 생각해보자.

 

A : 1년에 100억의 이익, 시가총액 300억 

B : 1년에 100억의 이익, 시가총액 200억 

 

그래프-트렌드

 

 

위 두 기업이 있다면, PER 측면에서 봤을 떄, A에 비해 B가 저평가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똑같은 물건인데, 하나는 비싸고, 하나는 싼것이다. 그러면, 현재 투자가치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B 기업을 사는 것이 유리하다. 만일 A가 시장의 전반적인 벤치마크 지수라고 한다면, 200억은 300억 수준으로 맞춰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야겠지만, 실제로 버는 돈만 놓고 단순 계산해보면 당연히 B라는 기업의 주식을 사야 한다.

A기업과 비슷하게 맞춰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리로 만들어진 개념이 바로 PER이다.

 

PER의미가 궁금하다면? 

 

 

그리고 이런 방식으로 계산하는 것을 멀티플 계산 방식이라 한다.

 

멀티플계산-배수

 

시장에서 여기는 통상적인 산업군의 멀티플

PER이 10인 기업이 있다. 그렇다면 다른 PER 5인 기업보다 무조건 고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을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왜냐하면, 산업군(미국주식에서는 섹터라고도 함)에 따라 시장에서 쳐주는 멀티플이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지표가 높은지 그렇지 않은지를 따질 때는,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몇배수로 그 산업을 쳐주는지가 중요한 요소다. 

 

예를 들어, IT 기업의 멀티플은 30 정도라면, 에너지나 유틸리티는 10 중반정도로 나타난다 (미국 S&P500 기준)

섹터별-PER멀티플-확인
2024 섹터별 멀티플 수치

 

이 수치보다 높다면, 통계적으로 고평가, 낮다면 저평가되어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관련 사이트를 링크로 남겨 놓겠다.  국내의 링크는 별도로 찾아보길 바란다 (숙제다)

 

 

멀티플-트렌드-그래프

 

 

PER 뿐만 아니라, PBR, EPS 등 주가의 가치 평가 벨류에이션의 적정성을 분석하는 데에 멀티플이라는 용어가 종종 사용된다. 그렇다고 해서 멀티플이 PER에만 해당되는 용어는 아니다.

PER이 될 수도 있고, PBR이 될 수도 있고, 다른 벨류에이션 지표가 될 수도 있다.

 

 

 

'배수'라는 의미를 기억해야 한다. 
이런 용어들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 경제의 흐름이 서서히 보이기 시작한다. 

 

아기자기한-그래프
통계를 보는 것은 투자자의 기본이다.

 

 

멀티플 개념과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PER, EPS 결국 같은 개념이지만 약간 다르다

PER 개념 쉽게 이해하기 PER은 모든 투자자들이 잘 알겠지만 시가총액을 순이익으로 나눈 수치이다. 순이익에 비해 총투자금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그 주가가 고평가 되어있는지, 저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