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4 연결재무제표란, 그룹사 전체 실적을 보는 방법, 재무제표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연결재무제표는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을 자회사로 두고 있을 때 작성하는 재무제표예요. 즉, 모회사와 여러 자회사의 재무 상태를 하나로 합쳐서 작성한 재무제표라고 할 수 있는거죠. 여기서는 연결 재무제표의 의미와 왜 필요한지, 구성 요소에 대해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 일전에 주식 공시사이트 DART 활용 방법에 대해 소개드린 글이 있습니다. 참고해보시고 꿀팁 얻어가시면 되겠습니다. DART 활용 방법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연결재무제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결재무제표가 뭔가요?간단히 말해, 모회사와 자회사를 묶어서 하나의 큰 회사처럼 보고 그 재무 상태를 나타낸 것이에요. 예를 들어, A라는 모회사가 B라는 자회사를 소유하고 있으면, A와 B의 자산, 부채, 수익 .. 주식투자 2024. 11. 7. 더보기 ›› 준조세 뜻, 의미, 범위와 종류 알아보자 준조세 뜻, 개념 준조세는 조세 이외의 부담금을 의미합니다. 주로 '준조세 격이다'라는 식으로 사용되는 용어인데요. 사회에서 연금이나 기금을 위해 걷는 각종 보험료, 행정관련 수수료 등이 이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죠. 준조세의 범위와 종류준조세도 종류가 나뉘는데요. 특별한 목적을 위해 거두게 되는 준조세를 목적세라고 합니다. 목적세에는 교육세, 농어촌 특별세, 교통세 등이 있죠. 또한 행정요금(사용료, 수수료, 요금), 행정제재금(과징금, 이행강제금, 가산금, 과태료, 범칙금) 등도 준조세로 분류됩니다. 사회보장성 부담금, 즉 국민연금, 고용보험료, 산재보험료, 의료보험(건강보험)등도 준조세로 분류되는데요.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바로 이러한 세금 때문에 부담을 많이 갖고 있지요. 추가적으로 기부금, 성금.. 경제관련 2024. 4. 2. 더보기 ›› 버짓 뜻, Budget, 예산, 고대 켈트어로 가죽주머니에서 유래 버짓 뜻, Budget, 예산, 고대 켈트어로 가죽 주머니에서 유래 버짓이란? Budget은 예산을 의미하는 영어단어이다. 버짓이라는 단어의 유래는 고대에서부터 시작된다. 버짓의 원래 의미는 고대어로 '가죽으로 만든 주머니'를 의미했다. 야생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가죽의 표피를 뜯어내 꿰메어 주머니를 만들고 그 안에 물물교환에 사용되는(화폐 역할을 하는) 각종 수집품이나 공예품을 넣어 두고 살았다. 그래서 필요할 때 넣어두고 꺼내쓰는 돈이 든 가죽 주머니였던 셈이다. 버짓이라는 용어의 유래 이것은 과거 영국에서 야당이 재무부 장관의 예산안을 풍자하면서 쓰이게 된 단어라고 한다. 정치권에서 상대 정치인에 대한 네거티브 공세를 위해 우스꽝 스러운 가죽 주머니로 포장하였던 것이다. 오늘날에는 어떤 조직(기업.. 경제관련 2022. 6. 29. 더보기 ›› 분개 회계용어 뜻, 차변과 대변을 나누어 작성하여 돈의 흐름을 이해하기 분개 개념, 차변과 대변을 나누어 작성, 돈의 흐름을 이해하자 분개란? 기업의 장부를 작성 시 차변과 대변을 나누어 적어야 하는 데 이것을 결정하는 것을 분개라 한다. 회계 항등식 (자산 =부채+자본)의 원리를 그대로 옮겨놓은 표라고 이해하면 된다. 빚을 냈으면 부채계정으로, 자본으로 가져온 것은 자본계정으로 가는 것을 잘 분류해야 한다. 수익과 비용의 증감이 있었다면, 증감된 계정항목을 잘 기재하여 차변대변이 맞도록 해야 한다. 분개 처리를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서이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돈 보고서'인데, 이 보고서를 잘 쓰기 위한 데이터를 만드는 것이 바로 분개(회계처리)이다. 분개, 회계기록의 기본 원칙 가계부를 제대로 작성해본 사람은 알 것이다. 돈의 흐름을 놓치는 순간 .. 경제관련 2022. 2. 1.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