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행지수2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의미, 추세요인을 제거하고 실질적인 경기변동 상태를 확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의미 알아보자 경제학에서 지수를 보다보면 순환변동치라는 개념을 종종 마주하게 되는데요. 순환변동치라는 개념을 처음들으면 도대체 무슨뜻인지 이해가 잘 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짧고 쉽게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행지수란? 우선 선행지수라는 개념부터 먼저 알아야 합니다. 경제에서는 경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경제의 상태측정계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 몸의 체중이나 체지방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우리는 각종 기계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 있는 측정기구들을 말이죠.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경제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각종 지표들이 있습니다. 물론 지표 하나만 보고 경기가 좋네, 나쁘네 판단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만, 전반적인 경기의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경제관련 2024. 1. 8.
물가정보, KPI(한국물가정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물가를 비교해보자 물가정보, KPI(한국 물가정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물가를 비교해보자 KPI란? 대한민국의 물가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 바로 KPI 이다. Korea Price Information의 약칭이다. KPI 물가, 한국물가정보는 1970년도에 설립되었으며, 우리나라 약 25만개 정도의 제품 가격을 비교적 정확하게 제공하고 있다. KPI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회원가입을 하고 물가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유로 가입도 있지만 무료가입만으로도 충분하다. 상단에 위치한 배너들 중에서 '물가정보'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나고, 원자재를 비롯한 수많은 자재, 부품들의 물가들을 확인할 수가 있다. 좌측 하단에 생활물가정보에는 전통시장의 가격정보와 규가/귀금속, 패스트.. 경제관련 2022.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