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A 뜻,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무자동화, 출생인구감소 고령화사회 대응책
RPA 개념,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무자동화, 출생인구감소 고령화사회 대응책
RPA란 무엇인가?
RPA는 'Robotic Process Automation'의 약칭으로 반복적이고 단순한 업무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비즈니스 업무를 자동화시키는 기술 또는 그러한 행위를 일컫는 말이다. 재무, 회계, 마케팅 등 많은 데이터를 사용해야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RPA 설루션 제공 업체들이 많이 있는데, 기업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여 납품하는 회사들을 말한다. 생산자동화 공정처럼 물리적인 실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소프트웨어로 엄연히 존재하는 '로봇'이기 때문에 '로보틱스'라는 명칭이 붙어있다. 간단한 RPA 프로그램은 개인이 엑셀 VBA 매크로로 만들거나 파이썬 프로그램을 통해 제작이 가능하다. 유튜브에 많은 정보들이 이미 공유되어 있다. 최근에는 머신러닝, AI 기술이 접복되면서 데이터 크롤링과 빅데이터를 추출하는 작업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이미지 인식 및 판독 기술(OCR)과 같은 기술과도 접목되며 수기로 작성된 서류(하드카피)를 스캔하여 심사까지 대리해주는 로봇들이 탄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기업들이 RPA에 최근 들어 더 주목하기 시작하는 이유는 결국 인구감소 때문이다. 인구 고령화와 생산가능 인구 감소로 인해, 향후에는 인력난이 커질 것이고, 업무를 대체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어 노동력 감소 문제에 대응하려는 것이다. RPA는 한번 시스템을 갖춰놓으면 24시간 정확하고 신속하게 일하며, 아프거나 휴가로 쉴 일도 없다. 계산이 뛰어난 컴퓨터의 특징 때문에 그렇다. 또 회사의 기밀이 사람을 통해 밖으로 유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보안 효과도 덩달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잘 구축된 RPA를 활용한다면 전체적으로 보면 기업 전체의 경제적 선순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RPA 도입은 많은 고객들의 정보를 관리하고 가공해야 하는 보험사나 카드사, 캐피털사 등에서 먼저 시작되었는데, 이제는 RPA가 없으면 일상 업무가 불가능할 정도가 되었다. 대체 불가능한 시스템이 되었기 때문이다. RPA 산업은 출생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이미 시작된 현시점에서 앞으로 그 시장규모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