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2G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모델, 정부기관을 상대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

펀더멘토 2023. 2. 16.
반응형

B2G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모델, 정부기관을 상대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

B2G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모델 경제용어
B2G, 경제용어 설명, 중앙정부 전자상거래 사업모델

B2G란 무엇인가?

B2G는 중앙 정부, 공공기관등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거래하는 전자상거래 사업 모델을 말한다. 보통 B2B라는 말은 익히 들어 많이 알려져 있다. B2B가 회사 간 거래를 의미한다면, B2B에서 맨뒤 알파벳 B가 Government의 앞글자 'G'로 바뀐 것이다. 보통 정부기관에서 주는 프로젝트나 제품 구매는 공정성 문제 때문에 입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B2G가 아니라 B2A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A는 Administtration, 즉, 행정기관을 의미하기도 한다. B2G가 B2B, B2C에 이어 그 규모가 커져가는 데는 기술이 한몫했다고 볼 수 있다. IT와 정보통신의 발달로 정부가 해야 할 일을 준정부급 기관이 하거나 민간으로 이관되는 사례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중앙정보만 가지고 있는 기술들이 민간 쪽으로 정보력과 힘, 기술 등이 분산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카카오뱅크나, 토스뱅크만 봐도 과거 중앙은행과 시중은행에만 쏠려 있던 것들이 점차적으로 바깥쪽으로 확산되어 가는 형태의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중앙정부만 하던 것이, 점점 민간 쪽으로 분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향으로 볼 때 B2G 서비스 또한 점진적으로 그 규모를 키워나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을 사업모델로 공략하는 것은 바람직한 선택이 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