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뜻, 용어의 유래, 한방에 이해하기
옴부즈맨 뜻, 용어의 유래, 한방에 이해하기
옴부즈맨이란?
옴부즈맨(Ombudsman)이라는 용어는 스웨덴어 "ombuds"라는 말에서 유래한다. 여기서 옴부즈라는 말은 "Ombuds"는 "대리인"이라는 의미를 갖는데, 스웨덴에서 처음 결성된 국민의 불만사항 해결을 위한 기구였다. 옴부즈맨은 지금의 청와대 게시판이 정식적인 기구로 있었다고 보면된다. 이 기구에서도 국민들에 당하게 되는 정부적차원의 불만사항, 부조리, 내부 부패등을 보고하는 절차를 거쳐 다른 국가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국민의 권리 보호와 공정한 업무수행을 위해 말그대로 '대리인'의 역할을 수행할 옴부즈맨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옴부즈맨이라는 직책은 다양한 분야로 뻗어나가기 시작했다.
현재는 대부분 공공기관에서 민원처리를 담당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옴부즈맨 제도는 민간기업에서도 운영되는 경우가 있다. 옴부즈맨이 있는 회사에서는 민원접수 절차를 거치고, 다양한 문제를 조기에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임직원들의 사내에서 겪게 되는 많은 불편사항들을 접수하여 정신적, 신체적으로 안녕한 상태로 업무에 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옴부즈맨의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옴부즈맨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회사는 글로벌기업중에 많이 있다.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Airbnb, Facebook과 같은 대형 IT기업들은 이미 옴부즈맨 제도를 시행하여 직원복지에 힘쓰고 있다. 불편한 문제들이 발생하면 옴부즈맨이 나서서 민원을 접수하고 공론화 한다. 한국에도 점차적으로 옴부즈맨을 통해 SK하이닉스, CJ, KT등과 같은 굴지의 대기업에서 임직원들의 불만사항을 접수받고 처리하는 제도를 갖추고 있다.
옴부즈맨 개념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2022.02.27 - [경제용어] - ESG 경영 뜻, 돈 잘버는 기업보다 환경과 사회를 지키는 기업
ESG 경영 뜻, 돈 잘버는 기업보다 환경과 사회를 지키는 기업
ESG 경영 뜻, 돈 잘 버는 기업보다 환경과 사회를 지키는 기업 최근 경제 관련 뉴스 여기저기서 ESG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ESG에 대한 언급은 해외에서는 꽤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이제야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