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대일로 정책이란, 중국에서 추진 중인 실크로드 전략

에버단단 2023. 3. 10.

일대일로 정책이란, 중국에서 추진 중인 실크로드 전략

일대일로 정책, 실크로드가 다시 돌아온다면?
일대일로 정책, 실크로드가 다시 돌아온다면?

일대일로 정책이란 무엇인가?

일대일로 정책이란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서 21세기에 들어가 강하게 밀어붙이는 땅따먹기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 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전국적인 프로젝트로 해양 선적으로 인한 무역의존도를 줄이고, 유럽과 철도를 이용한 무역망을 확장시켜나가겠다라는 취지에서 시작된 인프라 구축 정책이다.

일대일로 왜하는가?

일대일로, 한문자체도 너무나 쉬운 의미이다. 의역하면 '하나의 띠, 하나의 길'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데, 중국 전체가 거의 혈안이 되어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권 육상 실크로드 만들기 프로젝트이다. 길을 만들고 나면 운송등을 위하여 관련된 인프라들이 하나둘 씩 구축되기 시작할 것이고 이것들이 아시아의 경제성장을 가져오게 하는 것이 목표다. 아시아 전체가 경제성장이 되면 그 인프라를 통해 중국은 어마무시한 수입을 얻게 된다. 왜냐하며 일대일로로 지어진 사용권은 중국의 소유일 것이기 때문에 이 라이센스로 인해 빨아 땡길 수 있는 수익이 엄청 클 것이다. 그래서 중국 정부는 일대일로 사업에 혈안이 되어 있는 것이다.

일대일로를 위해 얻고자 하는 것.

중국은 일대일로를 통해 기본적으로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것이 중국몽(중국의 꿈)에 도달할 수 잇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일대일로가 구축되면 무려 60여개 국가가 하나의 인프라를 이용하게 되는 셈이고, 중국의 입지는 지금보다 몇십배는 더 커질 것이다. 또, 해양이 아닌 내부 무역망을 사용해야 한다면, 중국을 통하지 않으면 내륙에 있는 국가들과 무역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길 것이다. 중국은 중동쪽에 경제벨트를 구축하여 에너지공급망을 획득하게 될 것이고, 내부에 축척된 공급과잉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한국의 미래 입지는 어떻게 될 것인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을 통해 한국의 위상에 대한 전망은 둘로 나뉜다. 현재는 부산항이나 인천항등을 통해 국제 교역의 허브역할을 하고 있지만, 중국 일대일로로 구축된 인프라를 이용하면 이런 허브역할이 약화되며 경제력 또한 저하될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 쪽에서는 아시아전체적인 입지를 한국이 타고 오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즉, 한국 또한 중국 일대일로의 인프라를 이용하여 무역망이 확장될 수 있고, 중국과 함께 여러가지 상품과 시장이 확대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