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일반의 차이, 한방에 이해하기
전문의 일반의 차이, 한방에 이해하기

전문의와 일반의 무엇이 다를까?
일반의 이후에 1년간의 인턴, 그리고 4년간의 레지던트 과정을 차례로 거친 후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의사는 '전문의' 자격이 주어진다. 즉, 공부 열심히 해서 의대 입학 후, 무사히 학사과정을 수료하여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했다면 의사면허가 주어지는데, 여기까지만 했으면 '일반의'이다.

그리고 이런 자격을 취득한 후 추가로 병동에 들어가 수련과정을 거치면 전문의이다. 이렇게 전문의가 되기 위한 수련과정을 겪는 동안에는 '전공의', '수련의'라는 타이틀로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문의를 인정해 주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는데, 외국에서는 일반의가 보편화되어 있다고 한다.
간판 이름에도 차이가 있다고?
전문의와 일반의는 간판이름에도 차이가 있다. 전문의는 전공한 진료과목을 의원 앞에 쓸 수 있다. OO치과 의원, OO내과 의원 등으로 쓸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일반의는 의원 뒤에 진료과목을 써야 한다.
병원 간판이름만 보고도 전문의를 구분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자신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간판을 잘 구분해서 확인하고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을 권한다. 일반의의 경우 간판에 이름 사이즈의 1/2 크기를 넘겨 진료과목을 표시하면 의료법에 위반되기까지 한다.

병원과 의원 무슨 차이?
병상수 기준 30개를 두고 30개 이상은 병원, 30개 미만은 의원이다.
즉, 입원할 수 있는 환자의 수용능력과 규모가 크면 병원이고, 작으면 의원인데, 그 기준이 30개라는 거다.
종합병원은 100개 이상의 병상이 병동에 존재한다면 '종합병원' 타이틀을 갖게 된다.
전문의 일반의 개념과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포괄수가제 뜻, 장단점, 병원, 질병군 DRG 의미, 진료비지원제도
포괄수가제 뜻, 장단점, 병원, 질병군 DRG 의미, 진료비 지원제도 포괄수가제 뜻 포괄수가제란 병원에서 환자에게 발생하는 진료비를 검사, 투약, 처치, 입원기간 등에 무관하게 일정액으로 산정
danbi-zoa.tistory.com
연속혈당측정기란? CGM 기기의 원리
연속혈당측정기란? CGM 기기의 원리 CGM이란? 연속 혈당 측정기(Continuous 혈당 미터, CGM)는 사람의 혈당 수치를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표시하는 장치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일반적으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