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중은행금리비교 시, 정기적금이 정기예금보다 금리가 높을 수 밖에 없는 이유

기버단단 2023. 10. 16.

시중은행-금리비교-섬네일
정기적금이 정기예금보다 금리가 높을 수밖에 없는 메커니즘

시중은행 금리비교 시, 정기예금이 정기적금보다 금리가 낮은 이유

정기적금과 정기예금 이자계산을 해 보면, 정기적금이 금리값이 더 높은 경우가 있다.
왜 그럴까? 우선 적금이기 때문에 예금처럼 한 번에 비교적 큰 액수의 목돈에 대한 이자지출이 없기 때문에 은행에서도 금리를 높게 쳐주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일 수 있다. 하지만 정기적금이 정기예금보다 금리가 높은 잠재적 이유가 하나 더 있다.

은행이 정기적금이 정기예금보다 금리를 높게 가져가는 근본적인 이유

시중은행 금리비교를 간단히 웹사이트를 통해 해보면 정기적금이 정기예금금리보다 최소 1~2% 수준으로 높게 책정되는 것을 알게 된다. 이는 각 시중은행마다 차이가 있지만, 시장에 유통되는 금융상품의 적정가는 경쟁에 의해 어느 정도 수준으로 일정 수준 가격대를 형성하게 되어있다.

적금을나타내는-그래프


자 그럼 이런 차이가 왜 나타나는 것일까?
정기적금과 정기예금 상품을 이용하는 주체가 주로 어떤 금융소비자들로 구성이 되어 있는지 생각해 보면 가장 간단하게 답이 나온다. 정기예금을 드는 사람들은 주로 현금을 그 순간에 쥐고 있는 사람, 현금 구매력이 있는 사람들이다. 즉, 월급을 받는 일반근로자의 비중보다 사업가나 부자들이 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뜻이다.
이 말은 바꾸어 말하면, 정기적금의 경우 일반 서민층들의 비중이 높다는 걸 뜻하고, 현금흐름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것이 정기적금이라는 것이다.
연령대가 전반적으로 낮거나, 저소득층들이 정기적금으로 저축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당연한 상식이다. 생각해 보면 돈이 많은 사람들은 정기적금을 들 필요가 없다. 한 번에 예금에 때려박으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너무 당연한가?)

중도해지율이 높은 정기적금

이렇게 정기적금으로 목돈을 마련하는 사람들은 주로 현재 현금이 없거나, 소득이 낮은 상태일 것이므로, 경기 상황에 따라서 적금해 가는 중도에 해지할 확률이 높다. 적금을 중도에 해지하는 경우 많은 시중은행들은 전혀 이자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참고로, 중도해지 시에는 세금이 없다. 적금, 예금 등 이용 시 이자소득에 대해 세금이 발생하는데, 받은 이자소득이 없으므로 세금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은행에서 대출등으로 돈을 빌리는 경우에는 대출 중도상환에 대한 수수료가 적용된다. 이는 세금이 아니라 은행에 내야 하는 최소한의 페널티라는 점을 알아두길 바란다.)

돼지저금통-금고-이미지

적금도 엄연히 고객이 은행에 예치해 둔 돈임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제공하지 않고, 소수점 자리대의 대단히 적은 금리를 적용하거나, 아예 금리를 적용하지 않는다. 대부분 이런 방식으로 적금을 계약하게 된다. 그러면 정기적금을 중도해지를 했을 때 이익이 남는 쪽은 은행이다. 중도해지율이 높은 정기적금 상품의 경우 중도해지율이 낮은 예금 금리보다 금리를 높게 가져가야 수지가 맞는다는 이야기다. 즉, 정기적금의 금리가 높게 책정되는 근본적인 원인은 정기적금이 예금에 비해 소액이라는 이유보다 바로 '중도해지율이 높다는 점'때문이라는 것이다.

요약정리

다시 한번 쉽게 말하면, 정기적금은 주로 돈이 없는 서민층이 이용하는 상품이며 그래서 금리가 높아도 예금에 비해 크게 손해 볼 것이 없는 게 바로 은행입장이다. 그래서 중도해지율에 관한 약정서를 잘 읽고 계약을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적금뿐만이 아니라 돈을 빌리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험악한 세상에 손해 안 보고 살려면, 큰 글씨보다는 작은 글씨를 잘 봐야 할 듯하다.

 

시중은행 금리 비교 도움될만한 금리 관련 글

 

연준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폴 볼커의 실수

폴 볼커 연준의장의 볼커쇼크 경과 배경 폴 볼커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12대 연준 의장이다. 지미 카터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절 연준의장을 8년간 재임했다. 7080 시절, 오일쇼크 등으

danbi-zoa.tistory.com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 장단기채 이자수익률의 차이로 경기침체 전망 분석

장단기 채권 이자수익률의 차이로 경기침체 여부를 분석한다? 장단기 금리차 역전현상이란 장단기 금리차는 만기가 긴 장기채 만기가 긴 장기채 이자수익률에서 만기가 짧은 단기채 이자수익

danbi-zoa.tistory.com

 

 

가산금리 뜻, 뼈대금리에 은행 마진을 위한 금리

가산금리 뜻, 뼈대금리에 은행 마진을 위한 금리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기본 뼈대금리에서 고객의 여러 가지 상태를 고려하여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말한다. 여기서 뼈대금리라는 것은 통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