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생산 체감의 법칙, 한계생산력의 증가량은 점점 줄어든다
한계생산 체감의 법칙 이론
한계생산 체감법칙이란 한계생산(력)이 노동력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체감한다는 법칙이다.
노동시장에 대해 분석하는 노동시장론에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로, 노동의 단위를 추가함에 따라 생산량이 점차 감소하게 되는 현상이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내용을 한번 살펴보자.
한계생산력에 대해 다시한번 자세히 살펴보자.
어떤 제품을 만들때 노동력을 추가로 투입하게 되면 생산력이 증대될 것이다. 한 사람이 일해서 한 시간에 1개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면, 1개의 노동단위를 투입하면 한 시간에 두 개의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런 경우 시간당 한계생산력은 1개가 되는 식으로 단순히 계산해 볼 수가 있다. 즉, 노동단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되는 총생산략의 증가분, 그리고 증가되는 자연적인 공정상의 특성을 두고 한계생산성, 내지는 한계생산력이라고 한다.
한계생산에 체감이 발생한다.
방금 전에 '한계생산력'이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은 뭘까? 노동단위를 무한히 투입하면 무한히 증가할까?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사람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체감상 '노동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만 보면 노동의 단위를 증가시키는 만큼 한계생산이 증가해야 할 테지만, 사실 그렇지가 않다. 이것은 규모가 커지게 되면 여러 가지 변수로 인해 발생하므로 통계적으로 그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심리학에서 어떤 현상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서 자극을 점점 더 키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한계효용의 체감 법칙과 비슷한 것이다. 노동시장에 있어서도, 일정한 한계생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초기보다 규모가 더 커진 상태에서 노동단위가 '더 많이' 투입되어야만 동일한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확체증법칙과의 차이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은 다른말로 수확체감, 한계수확체감의 법칙이라고도 부른다.
수확체증의 법칙이라고도 하는데, '수확체증'의 증자가 바로 한계생산 체감법칙 때문에 한계생산력을 일정하게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단위노동량을 '증가'시켜야 한다는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즉, 수확체증의 법칙은 근본적으로 시장에서 발생하는 '한계생산체감법칙'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면 된다. 지금까지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계생산체감법칙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한계비용 개념, 생산량 한 단위 증가시키는 데 발생하는 비용 증가분
한계비용 뜻, 생산량 한 단위 증가시키는 데 발생하는 비용 증가분 한계비용이란? 생산량을 한 단위 증가시키는 데에 발생하는 생산비의 증가분을 말한다. 기업이 수입에서 비용을 뺀 마진(이윤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