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B상품 뜻, CU, GS25에서 자체 브랜드 과자를 판매하는 이유

에버단단 2023. 11. 3.

PB상품-용어설명-섬네일
PB상품 뜻, 편의점에서 자체 브랜드 과자를 판매하는 이유

PB상품 뜻

쇼핑을 하거나 CU나 GS25 같은 편의점에 방문하면 PB상품이라는 용어를 접할 때가 있다. PB의 의미가 도대체 뭘까? 이번포스팅에서는 PB상품 뜻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PB상품 뜻은 'Private Brand'의 약칭으로 어떤 제품을 판매하는 마트, 소매상들이 직접 개발하여 판매하는 브랜드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Private'라는 의미가 개인적인'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것처럼, 기존의 마트나 편의점이 갖고 있는 가장 주된 업무인 공급자와 소비자를 연결해 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하는 것, 그리고 그렇게 판매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품을 PB, 혹은 PB상품이라고 한다.

PB상품의 구조

제조업체입장에서보면 기존 방식으로는 공급자 자체에서 브랜드를 달고, 영업을 다니며 내 물건을 팔아줄 유통업체를 찾아야만 했다. 그러나 PB상품 구조를 적용하게 되 면 별도의 판촉행위를 하지 않고, 주문이 들어온 납품의뢰자(마트)에 제품을 납품하기만 하면 수익이 된다. 광고비를 절약할 수 있다. 유통업체입장에서도 자신들이 개발비를 투자했으므로, 브랜딩을 자체적으로 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조로 대량으로 납품을 받게 되면 중간유통비용 또한 절약된다. 즉, 공급을 받아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유통업자(마트나 편의점)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직접 개발해서 제품을 팔면 공급해서 받는 것 대비 마진율을 올릴 수 있다.

PB상품의 장단점

사실 고객입장에서 보면 어떤 제품이든 동등한 퀄리티에서 제품이 저렴해지면 그만이다. 그리고 실제로 줄어든 유통마진만큼 가격인하를 하는 마트들이 많이 있다. 그렇게 되면 소비자는 비슷한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가격인하량이 어느정도 반영 되었을 경우다. 하지만 마트에서 개발을 하게 된 제품들은 공급자가 수동적으로 개발이나 품질개선에 임할 우려가 있어,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 PB상품이라고 해서 처음에는 싼 것처럼 느껴지지만 나중에는 마진율을 마트 마음대로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두고 봐야 한다.

PB상품 구조의 핵심

PB상품이라 하더라도 과연 소비자에게 큰 혜택이 돌아오는가에 대해서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중요한 것은, PB상품의 구조자체는 자본이 어느 정도 있는 대형 유통업자들에게 권한이 돌아가는 서비스라는 점이며, 그들의 양심과 사회적 도덕성에 따라 그 품질과 가성비가 좌지우지될 수 있는 상품이 바로 PB상품이다. 지금까지 PB상품 뜻에 대해 알아보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