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식부기 뜻, 단식부기와의 차이, 거래의 8요소란, 복식부기 의무자
복식부기원칙이란?
복식부기란 현금 출납뿐 아니라 거래의 원인과 결과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기록하는 방식으로 관리주체의 재산상태, 손익을 장부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세무업계에서 장부를 기록하는 방법이 복식부기이며, 법인사업자는 복식부기로 장부를 작성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회계 기록의 기본 원리라고 알려져 있고, 법인의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등을 작성하기 위해 차변과 대변이 항상 일치하도록 하는 장부작성방식을 말한다. 회계 시스템의 정확성, 신뢰성,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1순위의 원리가 되는 것이 바로 복식부기원칙이다.
복식부기 작성의 핵심
가계부를 작성하는 식의 간단한 방식은 아니며, 회계에 대한 이해도가 어느 정도 필요하므로, 많은 사업자들이 세무대리인을 통해 작성하도록 한다.
단식부기와 어떤차이가 있을까?
단식부기는 현금의 입출입만을 간단하게 기록하는 방식이다. 가계부와 같은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적요에 어떤 이유로 들어왔는지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긴 하지만 단식부기는 현금의 입출입만을 간단하게 기록하는 방식이다. 가계부와 같은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적요에 어떤 이유로 들어왔는지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긴 하지만 형식적이지 않은 메모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복식부기는 차변 대변이 반드시 일치해야 하며, 요소와 대변요소가 반드시 결합되어야 하며, 차변금액과 대변금액이 동일해야만 한다는 근본 원칙이 있다.
원인과 결과는 무엇이고, 무엇을 차변에, 무엇을 대변에 써야 하는 건가요?
복식부기에서는 거래의 8요소에 준거하여 장부를 작성하게 된다. 여기서 '원인'이라 하면 어떤 상태가 벌어진 원인이다. 무언가를 구매했다면, 구매한 행동이 원이니 된다. '결과'는 어떤 행위로 인해 재산의 변동, 부채의 변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바로 그 변동사항이 결과이다. 무언가를 구매해서 자산이 감소했으면, '자산이 감소한 것'이 결과가 된다. 현금, 자산, 부채 자본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에 따라 차변과 대변에 원인과 결과가 다르게 들어간다. 예를 들어 현금이 증가하면 차변에 결과를 쓰고, 대변이 원인인 수익 증가분을 적는다. 만일 현금이 감소하면 대변에 결과를 쓰고 차변에 수익 감소분을 적는다.
복식부기 의무자
복식부기 의무자 기준은 '사업의 업종'과 '직전연도 수입 금액'에 따라 달라진다. 의사나 변호사는 수입금액과 관계없이 복식부기 작성의무가 있는 복식부기 '의무자'에 속한다. 복식부기를 작성해야 되는 대상이라면 일반적으로 회계지식이 있는 회계사에 대행요청을 하는 경우가 많다. 매년 5월에 진행되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복식부기장표와 재무제표를 국세청에 제출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복식부기의무자라면 사업을 영위하는 중에 발생하는 모든 현금의 유출입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지금까지 복식부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복식부기 뜻과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2022.02.01 - [경제용어] - 분개 회계용어 뜻, 차변과 대변을 나누어 작성하여 돈의 흐름을 이해하기
분개 회계용어 뜻, 차변과 대변을 나누어 작성하여 돈의 흐름을 이해하기
분개 개념, 차변과 대변을 나누어 작성, 돈의 흐름을 이해하자 분개란? 기업의 장부를 작성 시 차변과 대변을 나누어 적어야 하는 데 이것을 결정하는 것을 분개라 한다. 회계 항등식 (자산 =부채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