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덜트 뜻,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은 유희의 문화, 순수한 마음으로

에버단단 2023. 11. 27.

키덜트-용어설명-섬네일
키덜트 뜻,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은 유희의 문화

키덜트 뜻

키덜트 뜻은 아이를 뜻하는 'kid'와 어른을 뜻하는 'adult'가 합쳐진 말로, 아이들을 위해 판매되는 장난감을 소유하거나 모으는 것, 또 그와 관련된 서비스를 즐기는 부류의 사람들을 '키덜트(Kidult) 족'이라고 부른다. 키덜트는 아이들과 달리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들이므로, 제품에 대한 구매력이 있다는 점을 노려, 아이를 위해 판매하는 것 같지만 어른들을 마케팅적으로 타깃 하는 전략을 취하기도 한다.

어린이들이-좋아하는-공룡-장난감
키덜트의 의미, 아이와 어른의 합성어

어린이들이 볼 것 같은 영화 내용이 진지하고, 간혹 가다 어려운 이유는 어른들, 즉 키덜트의 눈높이에 맞춘 것이기도 하다. 마블과 같은 영웅 물들도 키덜트 산업에 속하는 시장이라고 볼 수 있겠다. 피겨 같은 고가의 시장이 형성되는 것도 키덜트 문화라고 할 수 있겠다.

키덜트 트렌드

언제 한번 마트에 갔는데, 건담프라모델은 18세 이상에게만 신분증을 받고 판매한다는 내용이었다. 건담이 아이들을 위해 만들어졌다라는 생각이 깨지는 순간이었다. 이런 것들도 키덜트 문화의 한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라이언즈와 같은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모지들을 성인들이 관련 굳즈를 사기 위해 수시간 대기하는 이유도 바로 이런 키덜트적인 감성이 드러나는 마케팅, 심리적 경제효과가 아닌가 싶다. 우리가 알게 모르게 키덜트 산업이 주변에 넓게 자리 잡고 있기에, 우리가 키덜트라는 단어에 관심을 갖고 시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즐기는 인간의 본성을 타겟화, 호모 루덴스

'유희의 인간'을 의미하는 '호모 루덴스'라는 말이 있다. 인간 문화사를 연구한 요한 하위징아가 창안한 개념으로, 인간은 본능적으로 즐기고, 상상하고, 놀거리를 찾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능 때문에 인간이 동기부여를 받고 목표를 쟁취하기 위해 고군분투한다는 가설이다. 우리 모두가 마음속 깊숙이 순수한 마음으로 즐기고 싶고, 놀고 싶지만, 그럴 수만은 없는 현실에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러나 키덜트족도 이러한 면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것을 택한 것이 아닐까?

베트맨-레고-장난감
유희의 인간, 호모 루덴스

키덜트족 뜻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2022.01.05 - [경제용어] - 홈루덴스족 뜻, 한방에 이해하기

 

홈루덴스족 뜻, 한방에 이해하기

홈 루덴스 족 뜻, 한방에 이해하기 홈 루덴스란? 집을 의미하는 홈(Home)과 즐기는 것을 좋아하는 오락형 인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호모 루덴스(Homo Ludens)의 루덴스를 따와 만든 합성 신조어이

danbi-zoa.tistory.com

2021.07.20 - [경제용어] - 사토리 세대, 한방에 이해하기

 

사토리 세대, 한방에 이해하기

사토리 세대, 한방에 이해하기 사토리는 일본말로 깨달음 혹은 통달을 의미한다. 그래서 사토리 세대를 직역하면 "깨달은 세대"라는 뜻이다.과거 직장에 헌신하고 미래가치를 위해 현재를 희생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