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 청취율 조사 방법
라디오 청취율 조사 방법
라디오 청취율 조사방법은 기본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 갤럽이나 한국리서치에서 진행하며, 샘플 표본을 작성한 후 전화설문을 진행한다.
수도권 위주로 13~65세를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요청하여 약 1만 명 정도에게 요청하면 25%의 응답률을 보인다고 한다. 그러면 이렇게 응답을 한 사람들 중에서 청취율이 가장 높은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것이다.
즉, 라디오 청취율은 라디오를 듣는 사람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통해 얻게 되는 결과라는 점, 그리고 지방이 아닌 수도권위주로 설문이 진행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라디오 청취율 20%라고 하면, 라디오를 듣는 사람들 중에서 20%가 듣는다는 의미가 된다.
라디오를 듣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서 라디오를 듣는 사람들에게만 한정적으로 설문을 진행하는 것 같다.
통계의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어떤 설문데이터이든 잘 살펴봐야 하는 것 같다.
라디오 청취율, 조건부 확률이다
조건부 확률은 특정 조건에서 일어난 사건을 확률로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통계를 바라볼 때는 항상 유의해야 한다.
라디오 청취율이 20%라고 해서, 대한민국 사람 20%가 듣는구나~' 라며 직관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항상 과학적으로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기르자.
설문조사와 관련된 필수 경제용어, 알아두면 조금은 도움되지 않을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