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거래 방법, 빠르게 알아봅시다
미국 주식 거래 방법
미국 주식 거래 방법 궁금하신 분들 많으실텐데요, 빠르게 살펴보고 이해 시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국내주식을 해보신 분들은 증권사를 다들 이용하고 계실텐데요. 이용하고 계신 증권사가 무엇이든 해외주식도 가능할겁니다.
저 같은 경우는 키움증권이랑 NH투자증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HTS보다는 MTS(모바일 어플)을 활용한 주식거래도 활발히 하고 계시므로, 모바일을 기준으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주식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
우리가 흔히 미국주식을 산다고하면 크게 두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첫째는 우리나라 펀드를 이용하는 방법
미국주식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방법인데요. 우리나라 자산운용사를 한번 거치는 것입니다. 펀드를 말이죠.
보통 펀드랑 ETF랑 다른걸로 알고계신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여기서 지금 제가 말하는 펀드라는 개념은 ETF도 포함입니다.
우리나라 자산운용사에는 미래에셋, 삼성자산운용 등등 여러 곳이 있는데, 이곳에서는 돈을 굴리고 싶은 투자자들이 돈을 맡기게 되면 펀드를 운용해서 수익금의 일부를 분배해줍니다. ETF도 이런 자산운용사에서 만든 펀드들을 주식거래하듯이 상장시켜놓은 것 뿐이거든요. 그래서 본질적으로 ETF도 이런 자산운용사에서 핸들링하는 펀드의 속성을 갖게 됩니다.
여기서 잠깐, 미국주식투자자들, 일명 서학개미가 많아지는 이유가 궁금하셨을꺼에요.
도대체 왜, 미국에서 투자를 하라고들 하는걸까?
바로 핵심적인 이유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ETF나 펀드를 이용해서 미국주식을 이용하면 편리하긴 한데 단점이 있습니다.
일단 운용수수료가 빠진다는 것인데요. 펀드를 직접사면 펀드수수료가 들고, ETF를 사더라도 운임수수료가 일할계산해서 차감됩니다.
그리고 개별적으로 내가 원하는 주식을 구매하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고요.
이런 경우에는 미국주식을 직접 사는 두번째 방법을 이용하시게 되는 것이죠.
연금저축과 같은 세제혜택 계좌에 돈을 넣고 미국ETF를 모으는 것에 대한 정보들이 요즘 나오고 있는데요. 연금저축 계좌안에서 ETF를 사셔도 지금 말씀드리는 첫번째 방법으로 미국주식을 구매하시게 되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직접 미국주식을 사는 방법입니다.
미국주식을 직접사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한데요. 국내주식 거래하듯이 거래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국내주식과 거래하는 방법측면에서 봤을 때 다른점은 딱 두가지입니다.
바로, 달러화가 필요하다는 점과 개장시간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달러를 환전할 때 환전수수료가 들어가는데 이 만큼 손실이 발생합니다. 증권사도 은행처럼 환전시에 마진을 댕겨오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 비용이 들어가는 것이죠. 물론 초반에 고객유치를 위해서 환전 수수료자체를 우대해주는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초반 몇달간 진행되는 혜택인 경우가 많더라고요.
1. 자금을 준비하기
아마 모든 증권사에서는 달러로 환전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지만, 원화로 주문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물론 원화주문시에도 수수료가 아예 안나가는 것은 아닙니다.
증권사마다 원화 주문에 대한 환전 처리 수수료와 비율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처리방법에 대한 공지나 안내문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적인 원화주문의 메커니즘은 일단 원화를 충분히 가지고 간 후에, 남는 차액을 돌려주는 방식으로 거래가 진행된다는 것이며, 이 정도만 알고계시면 됩니다.
중요한 것은 원화로도 거래를 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매수 주문을 받고나서 필요한 금액분만 환전을 하고자 할때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나는 충분히 달러를 갖고 있으면서 투자도 하고 싶어.'라는 생각을 가지신 분들이라면 그냥 환율고려하셔서 적절한 타이밍에 환전을 해두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2. 거래 준비
원화주문을 하든지 미리 환전에 필요한 달러를 준비를 하던지, 일단 돈이 준비되고 나면 이제 거래를 하면되는데요. 미국 주식 개장시간에 거래를 해야합니다. 물론 예약주문을 통해 미리 주문을 걸어놓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개장시간이 되면 또 가격이 어떻게될지 모르기 때문에 예약주문을 걸어놓으면 거래가 아예 되지 않는 경우도 생길것입니다. 그래서 이것이 싫으신 분들은 직접 개장시간에 매수 주문을 해야합니다.
미국 장의 개장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정규장 : 23:30-06:00
- 프리마켓: 18:00-23:29
- 에프터마켓 : 06:00-10:00
일반적으로 위 시간이 기본입니다만, 서머타임이라는 제도를 알아야합니다. 해가 길어지는 기간에는 시간을 1시간을 앞당겨서 장을 시작하고 마치는 제도인데요. 3월 둘째주 일요일부터 시작해서 11월 첫째주 월요일까지 서머타임입니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시점은 서머타임 적용기간이기 때문에 정규장이 23:30보다 1시간 당겨진 22:30에 시작하는 것입니다. 마치는 시간도 05:00가되는 것이고요. 이 개념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3. 매수 매도 주문
거래 가격을 보고 매수매도 주문을 넣으시면 되는데, 한국 증권사에서 보여지는 차트는 미국 장과 15분 정도차이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실시간 어플을 이용해서 보고 주문을 넣으시면 됩니다.
실시간 미국 시세 보는 사이트나 어플은 검색해보면 정말 많이 나옵니다.
저는 한 5년전부터 그냥 CNBC가 편해서 이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위 사이트 말고 yahoofinance 등 다른 곳을 이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미국에 다양한 ETF나 고배당주들을 찾아서 미국주식으로 거래를 합니다.
고배당주 같은 경우는 순전히 배당을 위해 거래를 하는 것이고요, 또 국내 자산운용사에서 만들어 놓지 않은 다양한 자산에 투자를 하기에 미국ETF가 적합하거든요. 요즘 유망하다고 소문난 인도기업들의 ETF도 국내에는 상장된 ETF들이 많이 없습니다.
4. 주문 처리 및 대기
주문을 넣는다고 바로 주식이 내 계좌로 들어오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미구주식 뿐만 아니라 국내주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예탁결제원에 주문을 넣고 다시 주주장부에 등록되고하는 등의 프로세스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걸 T+ 시스템이라고도 합니다.
미국에도 DTCC (Depository Trust & Clearing Corporation)라고 불리는 우리나라로 따지면 예탁결제원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 있습니다. 주식 및 기타 증권의 모든 예탁,결제,청산 등의 업무를 주관하는 곳입니다. 여기까지가서 제대로 처리가 되어야 내 주식계좌에 내가 매수주문을 넣었던 주식이 보이는 것이겠죠. 그게 주문을 넣은 이후 5일정도 걸린다하여 해외주식은 T+5 라고 줄여서 부르는 것입니다.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더욱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거래방법 결론
지금까지 미국 주식 거래방법에 대해 아주 빠르게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주식을 순전히 거래를 하는 방법론에 대해서만 정리를 해봐습니다.
미국주식을 하는데 있어서는 수수료와 세금체계도 국내주식과 약간 상이한 부분이 있는데요.
공부가 좀 필요한 부분이고, 분량도 꽤 될것 같아서, 별도의 포스팅으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과거에 제가 정리해둔 자료가 있긴 한데, 업데이트 사항이 조금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인 맥락을 참고하는데는 도움이 되실겁니다.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미국주식 거래방법과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