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r 지수 kb에서 간편하게 확인 가능, 주택구입부담 지수
경제기사를 읽다 보면 부동산 관련 소식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 중에 PIR지수라는 것이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PIR 지수와 그와 관련된 또 다른 지수, 주택구입부담 지수의 의미, 그리고 정확한 개념에 대해서 자세히 짚고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PIR 지수란
PIR 지수는 "Price to Income Ratio"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가구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라고 해요.
말그대로 이 지수는 집값이 그 지역의 평균 소득에 비해 얼마나 높은 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아래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PIR확인 사이트, KB 부동산입니다. 천천히 살펴보시고 제 설명을 한번 들어보시면 더 이해가 잘 되실 겁니다.
쉽게 한번, 설명드려볼게요.
PIR 지수는 어떤 지역에서 사람들이 집을 사기 위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어야 하는지를 보여줘요.
예를 들어, PIR 지수가 10이라면, 그 지역의 평균 소득으로 집을 사려면 10년치 소득이 필요하다는 뜻인데요.
어떤 지역의 PIR 지수가 높으면, 그 지역의 집값이 평균 소득에 비해 비싼 거고, 낮으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으로 따지면 PER 같은 개념인 것이죠.
지수는 사람들이 집을 사는 게 얼마나 부담스러운지, 또는 그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얼마나 비싼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줘요.
서울 집값 PIR 지수로 가늠해보자
서울 집값이 비싸다, 비싸다 하잖아요.
이것을 쉽게 지표로 가늠할 수 있는 것이 바로 PIR지수입니다.
최근 기사를 하나 봤는데요.
서울에서 연 소득이 약 8000만 원인 가구가 9억 원대 아파트를 사려면, 아무것도 쓰지 않고 돈을 모아도 11년 이상 걸린다는 겁니다 글쎄..
이걸 PIR(Price to Income Ratio) 지수로 나타내면 11.5라는 숫자가 나와요.
즉, 서울에서 중간 가격의 집을 사려면 평균적으로 11.5년 치 소득이 필요하다는 뜻인데, 이것은 단순히 연소득으로 산출된 값이기 때문에, 가용자산으로 계산을 하면 말도 안 되는 높은 수치가 나오겠죠. (불가능에 가까운)
그런데 심지어는 서울의 집값 양극화도 심각한데, 상위 20% 아파트의 평균 가격이 하위 20% 아파트의 5배 이상이라는 거예요.
이 말은 비싼 집과 저렴한 집 사이의 가격 차이가 매우 크다는 뜻인데요. 양극화가 계속 심해지고 있다는 부분도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서울에서 집을 사는 것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앞으로도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을 전달하고 있어요.
kb에서 pir 지수 확인
그렇다면, 우리는 pir 지수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바로 KB 부동산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참고로 이런 pir 지수와 비슷한 부동산 지수중 하나가 바로 주택구입부담지수라는 것인데요.
이 부분도 짧게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 (K-HAI)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집을 사는 것이 가구에게 얼마나 부담이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수예요. 이 지수는 주택 가격, 가구 소득, 그리고 대출금리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 계산해요.
쉽게 말하면, 집을 사기 위해 얼마나 돈을 벌어야 하고, 대출을 받아서 그 대출금을 갚는 게 얼마나 힘든지를 보여주는 지수예요.
지수 계산 방법은?
지수 계산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되는데요. 대출상환가능 소득의 평균을 계산한 후, 그 이후 이 값을 가지고 K-HAI 주택금융공사 자체 지수를 계산하게 됩니다.
- 대출상환가능소득: 중간 소득 가구가 중간 가격의 집을 사기 위해 대출을 받고, 그 대출금을 갚기 위해 매달 얼마가 필요한지를 계산
- K-HAI 지수 계산: 이 대출상환가능소득을 가구의 중간 소득으로 나누고, 그 값을 100으로 곱해요. 예를 들어, 이 값이 80이라면, 이 가구가 대출을 갚는 데에 소득의 약 80%를 사용해야 한다는 뜻.
지수의 의미
지수가 100 미만이면 대출을 상환하는 것이 비교적 수월하다는 뜻이고, 지수가 100 이상이면 대출을 상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예요.
주택금융공사에서 발표하는 통계자료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즉,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가 150으로 현저히 높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의미는, 서울에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소득대비 부채상환을 150%, 즉 버는 돈보다 많은 돈을 원리금을 상환하고 있는 데 사용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k-hai 지수가 높아지면 집을 사는 것이 그만큼 어려워지고, 낮아지면 조금 더 쉽게 집을 살 수 있다는 걸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결론
지금까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PIR 개념과, kb 부동산에서 pir 지수를 확인, 주택구입부담지수의 대한 내용까지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은 시간이 갈수록 양극화가 심해질 것 같은데요. 지방소멸이라는 단어가 나올 만큼 사실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는 인구감소 문제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지방소멸대응기금, 지방 지역사회 다시 복구 가능할까?
지방소멸 위기는 대한민국의 가장 심각한 사회 문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 게다가 지속적인 인구 이동으로 인해 많은 지방 도시들이 소멸 위험에 직면해 있는 것은
danbi-zoa.tistory.com
출산율감소 문제와 더불어 이러한 양극화문제는 정부에서 각별히 신경 써 해소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일 듯합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필수 상식
PIR, 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의 의미
PIR, 소득 대비 주택 가격비율의 의미 PIR이란? Price to Income Ratio의 약칭으로, 우리말로 하면 소득 대비 주택 가격비율입니다. PIR은 주택가격에 가구당 연간 소득을 나누어 산출됩니다. 주택 가격이
danbi-zoa.tistory.com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의미, 미국 S&P에서 발행하는 미국 20개 대도시 주택가격지수
케이스실러 주택 가격지수 의미, 미국 S&P에서 발행하는 미국 20개 대도시 주택 가격지수S&P-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란?미국 S&P에서 매월 발행하는 주택 가격지수이다. 미국의 주택 가격이 얼마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