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EB ETF 투자 전략, 중국 IT 시장의 성과를 추종하며 수익내기
KWEB ETF라고 들어보셨나요? 중국 IT 시장 증시를 따라가며 우상향 할 수 있는 etf 중 하나인데요. 다들 아시겠지만 최근 중국이 화려한 실적으로 따라붙고 있는 것이 느껴지는데요. KEWB ETF에 투자하면 별도로 중국 주식을 하나하나 매수할 필요 없이 중국 IT경제를 타고 올라갈 수 있습니다. 생소한 기업들도 많이 있겠지만, 이번글에서 KEWB ETF의 개괄적인 내용들을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이전에 KWEB ETF의 가격을 2배로 추종하는 CWEB이라는 ETF에 대해 알아본 적이 있었는데요.
그 ETF의 기초자산이 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목차
KWEB ETF 기본 정보 및 투자 전략
KWEB는 중국의 디지털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에 초점을 맞춘 ETF(상장지수펀드)입니다. 중국의 대표 인터넷 및 기술 기업에 골고루 투자해서 그 성과를 따라가려는 상품입니다. KWEB의 주요 투자 기업들은 Tencent(텐센트), Alibaba(알리바바), JD.com 같은 중국의 거대 인터넷 회사들인데 아마 익히 들어 잘 알고계실겁니다. 이런 종목들로 편입되어 있어 중국 IT기술 성장에 동참할 수 있는 etf라고 할 수 있죠.
KWEB ETF를 주도하고 있는 3가지 기업들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ETF 정보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텐센트

QQ와 위쳇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 최대 종합 디지털 기업입니다.
알리바바

알리바바를 모르시는 분들은 거의 없을 것 같은데요. 직구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알리바바에서 물건을 주문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죠. 우리나라의 네이버처럼 디지털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중국 디지털 시장의 주도주입니다. 타오바오와 티몰도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징동 닷컴

물류, 배송에 특화되어 있는 회사입니다. 국내로 따지면 로켓배송을 비롯한 다양한 금융서비스까지 도맡아 하고 있는 쿠팡과 비슷한 일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제 KEWB ETF의 개요와 최근 성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WEB의 개요와 최근 성과
- 출시: 2013년에 만들어졌고, 현재 7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 최근 성과: 1년 전 대비 약 24% 상승했습니다. 이는 다른 중국 관련 ETF보다 더 좋은 성과로, 중국의 인터넷 산업 성장 덕분입니다.

중국의 경제와 KWEB의 투자 배경
- 중국 경제 성장: IMF는 중국의 경제 성장률을 4.6%로 예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대출을 늘리고 국채를 발행하는 등 부양책을 사용하면서 내수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소비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겠죠. 과거 코로나 시국에 미국이 양적완화했던 상황을 생각해 보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인터넷 서비스와 기술 분야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겠죠.
-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 세계적인 투자자들도 중국 기술주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비드 테퍼 같은 유명 투자자가 중국 기술주를 더 사들이면서 KWEB와 같은 상품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보복 소비와 KWEB의 성장 가능성
보복 소비란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가 다시 활발해지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전자상거래, 엔터테인먼트, 디지털 서비스 같은 분야에서 소비가 폭발할 가능성이 클 듯합니다.
KWEB의 주요 투자 기업들이 바로 이런 소비 분야에서 성장할 수 있는 회사들인 셈이죠.
KWEB의 주요 투자 기업과 전략

- Alibaba Group Holding Ltd. (BABA): 중국의 전자상거래 및 클라우드 컴퓨팅을 포함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기업입니다. Taobao, Tmall 등 여러 인기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Tencent Holdings Ltd. (TCEHY): 중국 최대의 기술 및 인터넷 기업 중 하나로, 소셜 미디어 플랫폼 WeChat과 게임 서비스로 잘 알려져 있죠.
- Meituan (MPNGF): 중국에서 음식 배달, 호텔 예약, 영화 티켓 예매 등 다양한 온디맨드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이죠
- JD.com Inc. (JD):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상거래 기업 중 하나로, 다양한 소비재를 온라인으로 판매하고 물류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 PDD Holdings Inc. ADR (PDD):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Pinduoduo를 운영하며, 주로 농산물과 같은 다양한 상품을 저렴하게 판매합니다.
- KE Holdings Inc. ADR (BEKE): 중국의 부동산 플랫폼으로, 부동산 매매 및 임대와 관련된 서비스를 판매합니다. Beike Zhaofang이라는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다고 하네요. 대한민국에서는 직방이나 다방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Trip.com Group Ltd. (TRIP): 중국의 온라인 여행사로, 항공권, 호텔 예약, 여행 패키지 등을 제공합니다. 중국 내외의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여행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
- Baidu Inc. (BIDU): 중국의 검색 엔진 및 인공지능 분야의 선도 기업입니다. 검색 서비스 외에도 자율 주행, AI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 뉴스에 자주 나오는 기업이죠.
- Bilibili Inc. (BILI): 중국의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관련 콘텐츠로 유명합니다. 주로 젊은 층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 Kuaishou Technology (KUASF):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짧은 동영상 콘텐츠로 유명하며, TikTok과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KWEB 배당금
시가배당률은 1.43%입니다. S&P500과 비슷한 배당수익률입니다. 하지만 연간 배당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재투자가 많이 필요한 기업들 위주로 편입되어 있음에도 배당률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네요.

배당 빈도는 연간 배당입니다. 우리나라 개별주처럼 기말에 배당락이 설정되고, 지급은 연말에 이루어집니다.
시장 평가와 전망
현재 KWEB는 200일 이동 평균(SMA)을 상회하며 매수 신호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는 투자자들이 이 ETF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뜻이죠.
결론
지금까지 KWEB etf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중국판 양적완화가 실시되면서 홍콩, 인도 등 지금까지 많이 오르지 못했던 기업이나 국가가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의 대표적인 인터넷 기업들에 투자하여 디지털 경제 성장에 참여하려는 사람들에게 적합할 듯합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필수 상식
CWEB ETF 중국 IT 증시 경제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심플한 방법 1가지
CWEB ETF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최근 중국 경기부양책으로 미국 이외의 증시인 홍콩, 인도 증시가 다시 살아나는 듯한데요. 이럴 때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뉴욕증시에 상장되어 있
danbi-zoa.tistory.com
항서제약 배당 정보 확인 방법, 1주당 배당금 내역 확인해보자
국내증권사를 통해서 중국 하시는 분들 중 항서제약 투자하시는 분들 상당히 많으실 건데요. 중국 대표 제약주 중 하나인 항서제약은 홍콩, 중국 증시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danbi-zoa.tistory.com
홍콩 H지수ETF, 장점 3가지 빠르게 알아보자
홍콩 H지수ETF란?홍콩H지수ETF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의 주식으로 구성된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다. 이 펀드는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H주 중에서 시가총액이 크
danbi-zoa.tistory.com
미국상장 인도주식, 가장 간편하게 인도에 투자하는 방법 1가지 - 거인의 경제노트
인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요즈음, 인도 투자하시려는 분들이 많은데요. 아쉽게도 인도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여서 미국상장 인도주식을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danbizoa.co.kr
YINN ETF 중국 증시 레버리지 3배로 투자하는 법 - www.wealthassets.co.kr
최근 중국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YINN ETF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Direxion에서 발행한 상품으로, 중국의 대표 기업 50개를 포함하는 FTSE China 50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입니
www.wealthassets.co.kr
YCC 뜻, 양적 완화 QE 보다 한 단계 강화된 금융 정책, 기능은? - 투자선생님
일드커브 컨트롤(Yield Curve Control), 줄여서 YCC는 기존의 양적완화(QE)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개념입니다. 여기서 '일드커브'는 장기와 단기 채권의 수익률이 어떤 분포를 보이는지를 나타내는 곡
investguru.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