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연금 저축 계좌 etf 투자 하고 계신가요? 요즘은 안하면 오히려 손해보는 분위기인데요. 은퇴 후 받을 연금이 얼마나 될지 궁금하시죠? 요즘은 연금저축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할 수 있어요. 특히 2017년부터 연금저축 계좌를 통해 ETF 투자가 가능해지면서 관심이 더 커졌어요. 아직 늦지 않았으니 지금부터라도 준비하는 게 중요합니다.
1. 연금저축, 왜 지금 시작해야 할까요?
연금저축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두 가지예요.
첫째, 투자 기간에 따라 수익률 차이가 크다는 것이에요. 지금 시작할수록 복리 효과를 더 크게 누릴 수 있어요. 시간이 지날수록 돈이 불어나는 속도가 빨라지거든요.
둘째, 수익률이 높은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아무리 오랜 기간 투자해도 수익률이 낮으면 기대한 만큼의 연금을 받을 수 없어요.
그래서 어떤 종목에 투자할지 신중하게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즉, 연금저축펀드 계좌 안에서 최대한 빨리 가입해서 납입을 시작하고, 수익률이 높은 종목을 꾸준히 매수해야 한다는 겁니다.
아래는 삼성증권에서 소개한 연금저축펀드에 대한 설명입니다. 설명이 깔끔하게 잘 나와있어서 아직 못보신 분들이 있다면 참고해 보셔도 좋겠습니다.
2. 연금저축의 종류, 어떤 게 있을까요?
엄밀히 따지고 보면 연금저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요.
- 연금저축 신탁: 은행(예: 우리은행)에서 운영
- 연금저축 펀드: 증권사(예: 미래에셋)에서 운영
- 연금저축 보험: 보험사(예: 교보생명)에서 운영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선택하는 건 연금저축 펀드예요. 그래서 요즘에는 일반적으로 연금저축계좌하면, 증권사에서 만드는 계좌를 의미합니다. 이 연금저축펀드의 최대 장점은 바로 etf를 매수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펀드를 통해 ETF 같은 다양한 투자 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운용 수익률도 높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죠.
기존에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하고 있었다면, 연금저축펀드로 이전이 가능해요. 이렇게 하면 ETF 투자로 전환할 수 있어요.
3. 연금저축, 얼마나 넣어야 할까요?
40세 기준으로 매달 20만 원씩 연금저축을 하면, 노후에 약 500만 원 정도를 받을 수 있어요. 다만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지금의 300만 원 정도의 가치가 될 거예요.
연금저축의 최대 세액공제 한도는 연간 400만 원까지예요.
세액공제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월 33만 원 정도 납입하는 게 좋아요.
4. 세금 혜택,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연금저축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가 바로 세금 혜택이에요. 일반 계좌에서 투자를 하면 수익금에 대해 양도소득세 22%를 내야 하지만,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소득세만 3.3~5.5%만 내면 돼요.
즉, 세금 부담이 일반 계좌의 4분의 1 수준이기 때문에 절세 효과가 상당히 크죠. 부담 없이 꾸준히 납입하면 노후에 안정적인 소득을 확보할 수 있는겁니다. 그래서 연금저축 연금저축 하는 거예요.
5. 연금저축 ETF 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ETF 투자가 가능해요.
만일 증권사 계좌가 없다면 미래에셋과 같은 증권사에 가입하시고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개설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연금저축펀드 전용 종목들을 주문하시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많이 선택하는 ETF는 아래 몇 가지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주식 투자 (60%)
- 나스닥100: KODEX, TIGER ETF 활용 (미국 기술주 중심)
- S&P500: 미국 대형주 500개 추종
- 다우존스: 안정적인 미국 대표 기업 중심
- 차이나 CSI300: 중국 본토 우량주 300개 기업 투자
채권 및 원자재 투자 (40%)
- 미국채 10년물: 안정적인 국채 투자
- 골드선물(H): 금 가격 상승에 대비
이렇게 주식 60%, 채권 30%, 원자재 10% 비율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요.
6. 연금 수령, 언제부터 어떻게 받을까요?
연금저축을 꾸준히 납입하면 70세 이후에는 연간 수령한도 제한 없이 받을 수 있어요.
아까 말씀드렸듯이 연령대별로 소득세 3.3~5.5%만 내면 되고, ETF를 직접 매도해서 현금화하는 방식이에요.
따라서 인출 시점을 미리 계획해 두는 게 중요해요.
7. 연금저축, 효과적으로 준비하는 방법
- 투자를 빨리 시작하기 – 시간이 곧 돈이니까요.
-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자산 선택 – 글로벌 시장 ETF 활용.
- 세액공제를 최대한 활용하기 – 연간 400만 원 한도까지 납입.
- 분산 투자 전략 사용 – 주식, 채권, 원자재로 나누어 안정성 확보.
결론
이번 글에서는 증권사에서 만드는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펀드에서 etf를 어떻게 사야 할지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들을 살펴봤습니다. 연금저축은 노후 준비의 필수적인 선택이에요. 빠르게 시작할수록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고, ETF 투자를 활용하면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어요. 세금 혜택도 크기 때문에 지금부터 꾸준히 납입하는 게 중요해요.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