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가연동채권, 10초만에 이해하기

에버단단 2021. 9. 22.

물가연동 채권, 10초 만에 이해하기

제목이미지

물가연동 채권이란?

원금 및 이자지급액을 물가에 연동시키는 채권이다.

그래서 채권 투자시에 물가변동에 관한 부분을 헷지, 즉 위험성을 어느 정도 상쇄시켜 실질 구매력을 보장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채권은 만기시점에 상환될 때까지 원금이 변동하지 않고, 지급되는 이자도 일정하다.

 

 

 


그러나, 물가연동채권은 원금이 물가에 연동되어 증감하기 때문에 발행 이후 물가 변동에 따라 원금이 달라지고, 원금이 달라지니까 결국 지급되는 이자도 달라지게 된다.
쉽게 말해, 물가에 따라 그 가치가 변하는 채권인 셈이다.
물가연동 채권의 원금은 소비자물가지수 CPI에 따라 변한다.
그리고 이렇게 계산된 원금에 표면이율을 곱하여 이자지급액이 산출되기 때문에 이자도 물가 수준에 따라 변하게 되어있다.

 

 

 


물가가 오르고 있는 시점이라면, 물가연동채권에 투자하여 물가상승분에 대한 헷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최근에는 일반주식뿐만 아니라 채권에도 분산투자하려는 '똑똑한 개미들'이 많아지면서, 금융위기에 자산방어가 가능한 물가연동채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물가연동채권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필수 경제 상식

 

금리형 etf 추천 3가지, 채권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필수

금리형 ETF란? 금리형 ETF(Exchange-Traded Fund)는 시장의 이자율 변동에 따라 수익을 목표로 하는 상장지수펀드다. 이런 ETF는 주로 채권이나 다른 금융 수익 도구에 투자함으로써 이자 수익을 추구한

danbi-zoa.tistory.com

 

 

은행채 5년물, 금융채와 무슨 차이?

은행채, 금융채 개념 기본적으로 채권이라는 것은 채권 앞에 붙는 단어에 따라서 채권을 발행한 주체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국채는 국가가 발행한 채권 회사채는 회사가 발행한 채권, 은행채도

danbi-zoa.tistory.com

 

 

국고채 채권투자 방식, 간접투자 차이, 만기매칭형 채권etf

금리인상 인하기가 되면 항상 뉴스거리가 되는 것이 바로 '채권'이라는 금융자산인데요. 채권투자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 채권 투자방식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에 대해 짧게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