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손, 10초만에 이해하기
보이지 않는 손, 10초 만에 이해하기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말은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무슨 뜻일까?
영국 경제학자 애덤스미스가 그의 저서 '국부론"에서 소개한 표현이다.
개개인의 모든 이해관계는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고,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아도 균형을 잡아갈 것이라는 이론이다.
상품이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면 '매매'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물건을 팔려고 하는 사람은 비싸게 팔고 싶고, 물건을 사려고 하는 사람은 최대한 싸게 사고 싶다. 그게 효율적이니까.
그러나 무작정그럴수만은 없다.
내가 장사꾼이라고 치자. 그리고 저 앞에 내 물건을 사고 싶어 하는 사람이 딱 하나 있는데, 내 바로 옆에 있는 장사꾼이 나랑 똑같은 물건을 나보다 더 싸게 팔겠다는 의지를 보인다. 당신은 당황한다.
그 사람한테 팔도록 방치하는 것보다는, 내가 그사람이 부른 것보다 약간만 더 싸게 불러서 팔아 조금이라도 남길 수 있으면 이득이 된다. 사려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조건하에서 말이다.
이러한 이유로 파는쪽에서 사는 사람이 별로 없으면 파는 가격이 무한정 높아질 수는 없다.
저렴하게 사고 싶은 사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싸게 사고 싶은사람도 반대의 이유로 마찬가지이다. 상점에 물건이 하나 남았는데, 내 바로 옆사람이 나보다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사겠다는 제안을 상점 주인에게 한다면? 그리고 나는 이 물건이 지금 꼭 필요하다면? 그럼 가격을 높여서라도 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사는 쪽에서도 공급이 많지않으면 가격을 무제한 낮출 수 없다.
보이지 않는 경제논리의 힘
이렇게 시장에서 알아서 공급과 수요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는 이론이 바로 보이지 않는 손이다.
인간의 손은 뭔가 조작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가격 또한 마치 보이지 않는 무언가의 의해 조정당하게 되는 데 애덤 스미스는 그것을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이것을 '시장의 기능'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자율성을 강조하는 자본주의의 기초개념이며, 정부가 어느정도 중간자의 역할을 해줘야 한다는 '계획경제'이론과 상충하는 개념이다.
보이지 않는 손 개념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2022.04.01 - [경제용어] - 공급탄력성 뜻, 가격변화에 대한 공급량은 얼마나 민감할까
공급탄력성 뜻, 가격변화에 대한 공급량은 얼마나 민감할까
공급 탄력성 개념,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량은 얼마나 민감할까 공급 탄력성이란? 가격 변화에 따른 공급의 변화율 내지는 민감도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그래서 공급 탄력성 지표는 공급량의 변
danbi-zoa.tistory.com
2022.04.14 - [경제용어] - 수요탄력성 뜻, 가격에 의해 수요가 변동하는 폭
수요탄력성 뜻, 가격에 의해 수요가 변동하는 폭
수요 탄력성 뜻, 가격에 의해 수요가 변동하는 폭 수요의 탄력성이란? 경제학에서 '탄력성'의 의미를 먼저 알 필요가 있다. 어떤 원인에 의해서 결과가 얼마나 변하는 수치를 측정한 것이 바로
danbi-zoa.tistory.com
댓글